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470

***님, 하체 운동 후 무릎 심한 통증 Ⅰ스쿼트 기술 수정 전 (좌측) ​ 많은 여성분들이 범하는 실수, 엉덩이를 아래가 아닌 뒤로 향하게 하면서 스쿼트가 아닌 데드리프트가 되어 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대퇴사두근의 개입이 적어져 도리어 무릎 전면에 불편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직 완전히 앉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관절을 다 사용해버렸기 때문에 더 앉을 수 없으며, 여기서 풀 스쿼트로 억지로 앉으면 butt wink가 생기면서 무릎이 앞으로 확 밀리게 될 것입니다. ​ 뒤로 빠진 엉덩이만큼 상체는 죽을 수밖에 없으며 이 상태에서 무게를 얹으면 허리나 무릎에 과도한 부담을 주게 됩니다. 발목이 뻣뻣하여 무릎이 계속 내측으로 모였고 발 아치는 죽었습니다. 상체 각을 세울 수 없으니 후두부를 과신전하여 보상하게 되었습니다. ​ ​ Ⅱ 스쿼트 기술 .. 2022. 5. 30.
「 근육 연구소 」가 말하는 체형 교정 안녕하세요? 「 근육 연구소 」 입니다. ​ 우리 몸은 먹기/마시기/걷기/달리기/앉기/일어서기와 같은 기본적인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 혹은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조직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신체 정렬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하지만 선천적 장애 혹은 후천적 부상과 같은 따지자면 급성 손상부터 운동 부족이나 장시간의 좌식 생활(공부/운전/사무업무)로 부터 이어지는 만성 손상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올바른 정렬을 잃게 됩니다. ​ 우리 몸은 너무나 정교하게 짜인 나머지 발목뼈의 각도, 무릎의 각도, 골반의 전위 등이 조금만 정렬에서 벗어나도 신체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어떤 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즐기고 몸에 부대낌이 없는 사람이 있는가 반면 신체 불균형을 가진 사람은 단순히 상의를.. 2022. 5. 17.
골반의 중립과 어깨 통증이 무슨 상관..? 안녕하세요. 「 근육 연구소 」 입니다. ​ 우리 몸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수많은 뼈대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재미있는 것은 해당 조직들이 상관없는 듯 보여도 전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선천적 장애나 후천적 손상으로 인해 한 쪽 눈에 시야 결손이 있다면 고개를 정방향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는 경추의 회전 유도하며 이는 다시 흉추와 날개뼈의 불균형을 초래, 한 쪽 어깨에 반복적인 부상이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 그중에서도 골반은 현대인들의 좌식 생활로 인하여 불균형을 얻기 쉬운 부분인데, 오늘은 골반의 정렬 상태가 어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고자 키보드를 두드려봅니다. ​ ① 골반의 중립 ​ 많은 지도자들이 "골반의 중립'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는데요.. 2022. 5. 16.
(Q&A) 능형근 운동은 뭐가있나요?? 능형근 운동은 뭐가있나요?? T레이즈 운동하는중인데 밴드로 팽팽하게 만들어서 운동하는중입니다 근데 중부승모근보다 능형근을 운동하고싶은데 어떻게 운동해야하나요 t레이즈보다 더 좋은 운동방법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 근육 연구소 」 입니다. 능형근은 견갑골을 후인(내전), 아래로 회전(하방회전) 시켜주는 근육입니다. T-raise는 견갑골의 상방회전 및 후방경사를 유도하는 동작으로써 중/하부 승모근이 타겟이고 능형근 타겟이 아닙니다. 좁은 그림의 케이블 로우 동작은 견갑골이 강력하게 후인+내전되므로 중간승모근과 함께 능형근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 랫 풀 다운이나 턱걸이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당기는 동작 또한 상방회전된 날개뼈가 다시 하방회전됨으로써 능형근을 자극하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차렷자세에.. 2022.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