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칼럼90

달리기 중 나타나는 무릎 통증, 원인 및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분당 재활/교정, #웨이트제대로배우기 입니다.​ 달리기 중 무릎 통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겠습니다.​ (1) 허벅지 전면, 즉 단순 대퇴사두근의 경직으로 인한 방사통과 (2) 햄스트링/종아리 근육의 단축으로 인한 무릎 유연성 저하 (3) 골반 안정성 저하​ 가 바로 그것입니다.​ 1. 단순 대퇴사두근의 경직 → 방사통 허벅지 전면에 위치한 대퇴사두근은 근육의 갈래가 4개여서 사두근으로 불립니다. 근육에 과도한 or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근육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경직되어 스스로를 보호합니다. 그 과정에서 가동 범위가 제한되고 힘줄 방향으로 통증을 방사하게 됩니다.​ 대퇴사두근의 힘줄은 슬개골을 지나 정강이에 부착되기 때문에, 허벅지 근육이 경직될 경우 해당 .. 2024. 8. 6.
목/어깨를 풀어도 풀어도 계속 경직되는 이유 (원인 분석 및 재활 방법 포함) 많은 현대인들이 목과 어깨 통증을 호소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승모근"이라고 표현하지만 정확히는 "견갑거근" 통증에 가깝습니다. 아래는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위치와 통증점을 간단히 비교한 그림입니다.​ 목과 어깨의 경계면에서 특히 통증이 심하다면 승모근보다는 견갑거근의 문제일 확률이 더 큽니다. 특별히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 승모근이 우세한 경우보다는 약화된 경우가 훨씬 많고, 승모근과 반대되는 일을 하는 견갑거근, 능형근은 매우 짧고 경직된 경우가 많습니다.   (1)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동작에서는 승모근과 전거근이 사용되어 날개뼈가 위쪽으로 회전하고 (2) 머리 위로 들어 올린 팔을 다시 내리는 동작에서는 견갑거근, 능형근, 소흉근이 사용되어 날개뼈가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그런.. 2024. 5. 15.
익상견갑과 골반의 상관관계 (목/어깨 경직이 반복되는 이유) ​ 인간은 편측 동물이기에 좌/우 불균형을 완전히 막는다는 것, 교정한다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치우침은 특정 조직에 과부하를 발생시키고 이것은 다시 통증이나 조직 손상(염증, 파열)을 일으킨다. 신체에 통증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해당 통증과 손상을 피하기 위해 올바른 역학적 움직임이 훼손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 목과 어깨에서 발생하는 통증의 대부분은 목/어깨 그 자체의 문제보다 골반과 척추에서 시작된 틀어짐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여전히 많은 병원과 재활치료실에서 목과 어깨 통증에 대한 처치로 국소적인 접근 방식(예컨대 염증을 완화하는 치료나 근막 이완, 회전근개/전거근 운동과 같은 것들)을 선택하고 있다. 부끄럽지만 나 또한 한때 그러한 좁은 시각으로 운동과 교정에 대해 접.. 2023. 12. 31.
《근육 연구소》가 이야기하는 인간의 호흡 (올바른 호흡 연습 방법 포함) ​ 안녕하세요. 《근육 연구소》입니다. ​ 인간은 하루에 20,000번 이상의 호흡을 하는데요! 눈을 깜빡이거나 걷는 행위보다 더 자주 실시하는 것이 바로 이 호흡입니다. "자주"라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그것이 무엇이던 우리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마어마하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 ​ 하루 20,000번씩, 매일매일 빼놓지 않고 하는 어떠한 행위가 만약 올바르지 못한 것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그만큼 몸에 큰 부담과 악영향을 주게 될 것입니다. ​ 너무 당연해서 어쩌면 신경 쓰지 않았던 우리의 호흡, 호흡이 우리 몸에 실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호흡의 원리는 무엇이고 올바른 호흡은 또 어떻게 하는 것인지 찬찬히 분석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간 호흡의 원리 인간의 호흡은 '기압차'를 이용합니다. .. 202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