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피티111 달리기 중 나타나는 무릎 통증, 원인 및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분당 재활/교정, #웨이트제대로배우기 입니다. 달리기 중 무릎 통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겠습니다. (1) 허벅지 전면, 즉 단순 대퇴사두근의 경직으로 인한 방사통과 (2) 햄스트링/종아리 근육의 단축으로 인한 무릎 유연성 저하 (3) 골반 안정성 저하 가 바로 그것입니다. 1. 단순 대퇴사두근의 경직 → 방사통 허벅지 전면에 위치한 대퇴사두근은 근육의 갈래가 4개여서 사두근으로 불립니다. 근육에 과도한 or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근육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경직되어 스스로를 보호합니다. 그 과정에서 가동 범위가 제한되고 힘줄 방향으로 통증을 방사하게 됩니다. 대퇴사두근의 힘줄은 슬개골을 지나 정강이에 부착되기 때문에, 허벅지 근육이 경직될 경우 해당 .. 2024. 8. 6.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베타차단제 선수들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일반 아마추어들에게도 있어 퍼포먼스의 향상 혹은 외적 미용을 위해 약물과 보충제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늘은 각 약물과 보충제들의 특성과 함께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한다.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호르몬과 약물2. 식이보충물 - [베타차단제란 무엇인가] 교감신경계는 아드레날린 신경을 통해 인체 기능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자극 전달은 표적세포에서 대사를 활발하게 만들고 신체를 전투 상태로 만든다. “아드레날”은 신장 부신을 뜻하며 에피네프린이라고도 불린다. (메틸기가 떨어지면 노르에피네프린이라고 불리는데 에피네프린과 하는 일은 같으나 그 정도는 더 약하다.) (그림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018. 10. 29.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어깨 손상 재활 4가지 동작 (회전근개 손상/충돌증후군 등) 직립으로 인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인간은, 특히나 어깨와 팔꿈치 관절에서 굴곡근이 훨씬 우세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루 종일 휴대폰을 들고 있는 이두근, 팔꿈치와 어깨관절이 굴곡된 상태로 장시간의 컴퓨터 업무, 운전 등등) 이러한 상태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게 되면 (특히나 어깨를 많이 쓰는 수영/야구/농구/배구 등) 어깨 관절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깨 관절 손상의 예방 혹은 재활을 위해 위 동작들을 워밍업 혹은 짬짬히 실시해주시면 어깨 관절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장코치 다른 칼럼 둘러보기 : https://blog.naver.com/stinvvv개인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me/stinvvv장우현-장.. 2018. 10. 29.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L-카르니틴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L-카르니틴 선수들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일반 아마추어들에게도 있어 퍼포먼스의 향상 혹은 외적 미용을 위해 약물과 보충제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늘은 각 약물과 보충제들의 특성과 함께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한다.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호르몬과 약물2. 식이보충물 L-카르니틴은 "아미노산리신"과 "메티오닌"의 합성물질로써 긴-사슬 지방산을 에너지산화를 위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 발전소로써 산소성 대사를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원(ATP)을 생산해낸다.) 또한 카르니틴은 미토콘드리아 내의 글루코스와 아미노산 분해에 영향.. 2018. 10. 25. 이전 1 2 3 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