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연구소470 근막의 기능과 종류 (PART 2/2) 근막의 기능과 종류 (PART1/2)은 여기를 클릭! ⅲ 대퇴근막(Fascia lata) 대퇴근막은 IT band로 불리기도 하는데요, Iliac crest(장골능)의 I와 Tibia(경골)의 T를 이어주기 떄문에 그렇게 불리웁니다. 근위부에서는 대둔근과 대퇴근막장근(TFL)과 이어져 있으며 허벅지 측면을 활주하여 원위부에서는 경골 외측상과에 붙습니다. 발바닥이 바닥에 닿은 닫힌 사슬 운동을 할 때(걷기/달리기 시 한 발로 서는 구간) 둔근과 대퇴근막장근이 동시 수축하여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외측광근의 수축에 힘 입어 대퇴근막은 무릎 안정성에도 깊게 관여하는데요, 대퇴근막이 과도하게 경직되면 내반슬을 유도, 고관절 찝힘이나 무릎 외측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무릎 관절.. 2022. 2. 22. 근막의 기능과 종류 (PART 1/2) 근막은 근육과 힘줄, 관절낭과 같은 연부 조직 중 하나로 우리 몸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근육과 장기를 잇는 단순한 구조물 정도로 생각해왔으나 최근에는 기계적 자극에 반응하는 근섬유모세포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단순 지지형 구조물이라 여겨졌던 인대에서도 같은 세포가 발견되었습니다.) 근막은 인체 모든 구성 성분들 사이를 연결합니다. 근육과 근육뿐만 아니라 인대나 힘줄, 뼈와 뼈 사이, 내장과 뼈조직 등 모든 인체 구성 성분을 연결하여 긴밀한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합니다. 뼈대가 우리 몸의 기둥이자 기준점이 된다면 근막은 그 기둥을 단단히 고정하는 밧줄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피부를 통한 기계적 자극이나 눈을 이용한 시각 자극, 귀의 내의나 근.. 2022. 2. 21. 날개뼈의 적절한 상방회전을 위한 효과적인 큐잉 운동을 지도함에 있어 "큐잉"이란 무엇일까요? 큐잉이란 쉽게 말해 "지시"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큐잉(지시)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왜 중요할까요? 우리는 몸을 이해하기 위해 신체 구조에 대해, 기능에 대해, 원리에 대해 공부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필요한 고객에게 전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큐잉이 필요합니다. 내 머릿 속에 그려지는 상상을 상대방에게 100% 전달하기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닙니다. 같은 분야의 종사하는 사람들끼리는 그들만의 약속된 언어, 즉 '용어'가 있습니다. 때문에 내가 머릿 속에 그린 그림을 상대방에게 100% 똑같이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요. 그러나 상대가 일반인이라면 '용어'에 익숙치 않기 때문에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우리는 "큐잉"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가령.. 2022. 2. 17. [답글] 팔굽혀펴기 후방관절낭 통증 팔굽혀펴기를 할수록 왼쪽 gh관절에서 후방관절낭의 통증이 생깁니다. 이때 자세는 견관절이 20도 정도 외전된 상태입니다(흔히 가슴보다 삼두에 더 자극이 간다고 하는). 여기서 생기는 후방관절낭의 통증은 슬리퍼스트레칭과 휴식으로 금방 호전되지만, 통증을 느끼고 회복하기를 반복하며 운동해도 되는지 의문입니다. 견관절을 55도 정도까지 외전시키면 후방관절낭의 통증이 없는 듯해서 차라리 이렇게 하는 게 나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이에 관한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선생님의 칼럼이나 답변 등을 개인 블로그 같은 곳에 인용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ㅎㅎ 「근육 연구소」입니다. Q. 푸시업할 때 GH 관절 후방 통증 전거근 약화에 의한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ㅎㅎ 아시다시피 푸시업을 할 때.. 2022. 2. 1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