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굽혀펴기를 할수록 왼쪽 gh관절에서 후방관절낭의 통증이 생깁니다. 이때 자세는 견관절이 20도 정도 외전된 상태입니다(흔히 가슴보다 삼두에 더 자극이 간다고 하는). 여기서 생기는 후방관절낭의 통증은 슬리퍼스트레칭과 휴식으로 금방 호전되지만, 통증을 느끼고 회복하기를 반복하며 운동해도 되는지 의문입니다.
견관절을 55도 정도까지 외전시키면 후방관절낭의 통증이 없는 듯해서 차라리 이렇게 하는 게 나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이에 관한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선생님의 칼럼이나 답변 등을 개인 블로그 같은 곳에 인용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ㅎㅎ 「근육 연구소」입니다.
Q. 푸시업할 때 GH 관절 후방 통증
전거근 약화에 의한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ㅎㅎ 아시다시피 푸시업을 할 때는 GH관절의 굴곡/신전 운동뿐만 아니라 ST관절의 전인/후인도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GH관절과 ST관절의 움직임 타이밍이 어긋나서 그렇습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면 전거근&능형근 길항이 잘 안이루어져서 GH 관절에 너무 큰 부담을 준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팔꿈치가 몸쪽으로 붙더라도 전거근과 능형근 협응이 잘 된다면 흉근 사용에 큰 지장은 없습니다.. (팔꿈치 각도는 크게 중요치 않음)
팔꿈치가 더 벌어졌을 때 편안해지는 것은 어깨 관절이 비교적 크게 내회전되었기 때문이며(내회전되면 팔꿈치는 몸에서 멀어지고, 외회전되면 팔꿈치는 가까워짐) 사실 그렇게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푸시업 시 내회전이 무조건 잘못된 것은 아님) 허나 내회전을 이용한 푸시업은 전면 삼각근 및 소흉근의 개입이 좀 더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체력관리 측면에서는 상관없겠으나 좀 더 높은 강도나 난이도를 목표한다면 위 언급드린 전거근 사용 방법을 익히는 것이 더 좋습니다.
충분히 답변 되었으리라 생각됩니다!
출처 및 링크만 잘 표시해주신다면 칼럼이나 답변 얼마든지 인용해주셔도 됩니다!
고맙습니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Q&A) x자다리(휜다리) 도 pt받아도 되나요 러닝도 가능할까요? (0) | 2022.03.01 |
---|---|
[Q&A] Y존 부각 (0) | 2022.03.01 |
병원에서 해줄 수 있는 일 vs 해줄 수 없는 일 (0) | 2022.02.11 |
[Q&A] 365일 어깨 아픈 사람 (0) | 2022.01.11 |
[Q&A] 저 거북목 인가요? (0) | 2022.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