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연구소470 중둔근 약화가 어깨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근육 연구소」입니다. 중둔근(gluteus medius)는 엉덩이 근육 3가지(소둔근/중둔근/대둔근) 중 하나인데요, 우리 몸 측면에 위치해 있어 다양한 움직임을 소화하는 주요한 근육입니다. 중둔근의 앞쪽, 전면 섬유는 고관절을 내회전시키고 후면 섬유는 고관절을 외회전시키며 상/하부 섬유는 고관절을 외전시키고 골반의 높낮이를 조절합니다. 이러한 중둔근의 생김새와 위치 때문에 한 발로 서 있는 과정에서 중둔근은 골반의 균형(우측 그림 참조)을 잡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살면서 한 발로 서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싶지만 인간에게 호흡 다음으로 중요한 보행, 즉 걷기나 달리기에서 한 발로 서 있는 구간이 존재합니다. (Swing phase : 흔듦기) 만약 중둔근의 약화나 기능 부.. 2022. 9. 19. 권**님, 반복적인 무릎 내측 통증, 어깨 통증, 팔꿈치 통증 ① 구두 상담 크로스핏을 다년간 수련한 40대 여성 푸시업하면 왼쪽 팔꿈치 통증 팔을 들어 올리면 마지막 가동 범위에서 우측 AC 관절 근처에서 날카로운 통증 무릎이 가장 큰 문제인데, 우측 무릎 내측에 통증이 너무 심해 스쿼트는 물론 하체가 사용되는 동작을 아예 하지 못함 운동을 너무 좋아하시지만 무릎 때문에 포기해야 하나 싶어 매우 우울해하심 ② 평가 및 처치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처치하기로 하였다. 어깨 통증을 잡기 위해 다양한 큐잉을 시도해 보았다. 견갑골 하각을 컨트롤하여 상방 회전 가동 범위 늘리기 → 여전히 통증 어깨 관절 굴곡 시 견갑골 후방 경사를 만들어 확인 → 여전히 통증 바닥에서 흉추 굴곡/신전 연습 후 척추 전위 변경 → 어깨 통증 아예 사라짐 흉추를 적절히 신전.. 2022. 9. 17. 고관절 외전의 근수축 패턴 테스트 + 중둔근 전면/후면 섬유 근력 테스트, 중둔근 재활 운동 2가지 ① 중둔근은 관상면 상의 골반/고관절의 균형, 즉 인간의 좌/우 밸런스를 잡아주는데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한다. ② 인간은 보행 중 한 발로 서는 구간(swing phase)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 발로 체중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골반의 좌/우 밸런스를 얼마나 잘 유지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이 밸런스가 무너지면 무게 중심 및 관절 역학이 바뀌어 요통, 천장관절 통증, 무릎 통증, 정강이 회전, 평발 등의 결과가 나타난다. ③ 중둔근의 약화는 근막장근 및 요방형근의 과도한 보상을 유발한다. ④ 첫 번째 Hip abduction Pattern Test는 말 그대로 고관절 외전시 정상적인 순서로 근육이 수축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테스트이다. ⑤ 시험자는 우측의 사진처럼 한 손으로 피험자의 요방형근을 .. 2022. 9. 10. 남**님, 스쿼트 바벨 회전 (경과 보고서) ⠀ ※ 스쿼트 기술 교정 ⠀ 첫 번째 사진 : 22년 8월 2일 두 번째 사진 : 22년 9월 10일 ⠀ 스쿼트 시 바벨 회전으로 인해 바벨이 미드풋에 놓이지 못하고 발가락 쪽으로 쏠림 → 무릎/어깨/허리 불편감 유발 ⠀ ① 장요근/햄스트링 개별 활성화 후 브릿지 → 힙스러스터 → 스쿼트 순으로 패턴 연습 ⠀ ② 스쿼트 네거티브시 중력에 끌려가지 않고 능동적으로 고관절/무릎 굴곡할 수 있도록 교육 ⠀ ③ 스쿼트 앉을 때 : 장요근(고관절 굴곡근), 햄스트링(무릎 관절 굴곡근) 스쿼트 일어설 때 : 대둔근(고관절 신전근), 대퇴사두근(무릎 관절 신전근) ⠀ 단순히 앉았다 일어서는 형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해당 굴곡/신전 근육을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음. ⠀ 근육 연구소 유튜브 :.. 2022. 9. 10.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