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조들의 지혜42

처진 어깨, 날개뼈 하방회전 증후군 ​ '비정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를 알아야한다. 그래야 비교 기준이 생기기 때문이다. ​ ① 날개뼈의 정상정렬 날개뼈의 척추연은 서로 평행하며 날개뼈는 흉추로부터 약 2-3인치(약 5~7.5cm) 떨어져 있다. 흉추 T2번부터 흉추 T7번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관상면을 측정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우측 그림과 같이 30˚ 가량 뒤굽음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어깨면이라 부름) ​ ​ ​ ​ ② 안정시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 (Scapula Downward Syndrome) 좌측 그림을 살펴보면 ​ 붉은색 A = 견갑골 하각 파란색 B = 견갑골 극근 검정색 C = 견갑극 ​ 이라고 한다.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을 가진 경우 A(견갑골 하각)가 B(견갑골 극근)보다 내측에 위치(척추에 가까워.. 2021. 8. 15.
뉴만 요약 : 날개뼈 거상/하강/전인/후인 (~161pg) ST 관절(Sacapula 날개뼈 + Thoracic 흉추 사이의 가상 관절)은 어깨 복합체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관절 중 하나이지만 관절낭이나 활액낭, 인대 등 결합조직이 없기 때문에 실제 관절이라기보다는 움직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가상의 관절로 설명된다. ​ ST 관절 주변 근육들에 의해 날개뼈는 위와 같이 6가지 (정확히는 전방/후방경사까지 8가지) 움직임을 수행한다. ​ ① 거상 (올림, Elevation) 상부 승모근과 견갑거근이 날개뼈를 힘차게 끌어올리고 능형근은 약간 보조한다. 이 근육들은 뇌졸중, 근이영양증(근위축)과 같은 질병에 의해 약화되거나 마비될 수 있다. 지난 시간에 같이 살펴보았듯 안정 시 날개뼈는 5˚가량 위로 상방 회전이 되어 있어 상완골 머리가 날개뼈 소켓에 얹혀 있을 .. 2021. 8. 13.
뉴만키네지올로지 : 155~ 156pg 요약 어깨 복합체(Shoulder Complex)의 신경지배(상완신경총, Brachial plexus)이다. 어지러워보이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답이 나온다. 좌측부터 보지 말고 우측부터 같이 살펴보자. 맨 우측에 위치한 Roots는 말 그대로 신경의 뿌리가 된다. ​ 어깨와 팔의 근육들은 C5, C6, C7, C8, T1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경추는 분명 C1-7까지 존재하지만 신경은 C8까지 존재하니 기억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본격 신경 지배를 따라가기에 앞서 어깨 복합체 관련 근육 중 예외가 한 놈 있는데 바로 '승모근'이다. 승모근은 상완신경총이 아닌 부신경(제 11뇌신경)과 C3, C4 경추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 다시 돌아와서, C5, C6, C7, C8, T1이라는 중추신경계 뿌리(Roots.. 2021. 8. 10.
뉴만키네지올로지 : 151~155pg 요약 ① 견갑상완리듬 (scapulohumeral rhythm) 지난 시간 같이 이야기나눴던 것처럼, 어깨 관절에서 완전한 외전(180˚)이 일어나는 동안 GH관절에서는 120˚의 가동범위를 책임지고, ST관절에서 날개뼈의 상방회전이 나머지 60˚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어깨 관절이 3˚ 외전할 때 GH관절에서 2˚, ST관절에서 1˚ 즉 2:1 비율로 움직임이 일어난다. ​ 어깨 관절은 본래 '복합체(complex)'로 작동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위 그림과 같이 '외전'움직임이 일어났을 때 어깨 복합체에 존재하는 모든 관절(AC/ST/SC/GH)은 각기 맡은 바 움직임을 소화한다. ​ a. SC관절 팔이올라가는 동안 쇄골은 뒤로 당겨지며(15˚) 뒤쪽으로 회전(25˚)된다. 어깨 관절의 완전한 외전 시 쇄골이.. 2021.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