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조들의 지혜42

뉴만 키네지올로지 : 146~151pg 요약 ① 오훼견봉궁 (부리봉우리활, Coracoacromial Arch)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훼돌기 + 견봉이 이루는 아치를 말한다. 좌측 그림을 보면 그 아래 공간이 있는데 특별한 부상이 없는 일반인이라면 공간 높이가 약 1cm 정도 된다. 여기에 "극상근 힘줄 + 윤활낭 + 이두근 장두 힘줄 + 점액낭 일부"가 지나간다. ​ 우측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아치의 빈 공간은 CAL(CoracoAcromial Ligament, 오훼견봉인대)가 메꾸고 있다. (전방/후방으로 나뉨) ​ 힘줄들이 겹치거나 관절 주머니와 뼈가 맞닿는 부위, 근육과 인대 사이, 근육 사이 등 부대낌이나 충돌 위험이 있는 공간에는 윤활낭(bursa)가 존재하여 마찰력을 줄여준다. 좌측은 견봉 아래 극상근을 보호하기 위한 견봉하낭(어깨.. 2021. 8. 3.
뉴만 키네지올로지 : 141~146pg 요약 GH 관절, ​ 날개뼈 소켓에 있는 관절순(Glenoid)과 상완골 머리(Humeral head)가 이루는 관절을 말한다. 각 첫 글자를 따와서 GH 관절이라고 부른다. 흔히 우리가 '어깨 관절'이라고 생각하는 그곳이 맞다. 우측 그림을 엄청 많이 인용해왔는데, GH 관절은 매우 큰 상완골 머리에 비해 관절 접합 넓이가 굉장히 작다. (상완골 머리의 약 1/3 정도만 부착됨) 직립을 하는 인간에게 양손은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관절이므로 어깨는 매우 큰 가동 범위를 갖는다. 다만 가동 범위가 큰 장점과 동시에 움직임이 일어날 때 어깨 관절에 전달되는 토크가 커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부상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 ​ 좌측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GH 관절은 체간과 평행하게 놓여있지 않고 날개뼈와 .. 2021. 8. 2.
뉴만 키네지올로지 : 138~140pg 요약 ST 관절 (Scapulothoracic Joint) : 날개뼈와 체간이 이루는 가상의 관절 ​ 날개뼈와 체간 뒤편은 전거근, 능형근, 기립근, 견갑하근 등 여러가지 근육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음. 그래서 날개뼈가 몸통 위에서 여러가지 움직임을 수행할 때 다양한 근육들의 도움을 받게 됨. 참고로 ST joint와 GH joint가 어깨 관절 움직임 시 가장 많은 가동범위를 책임지게 된다. ​ 만약 ST 관절 주변 근육들의 불균형이 있다면 날개뼈가 체간이 걸리면서 드르륵, 뿌드득 하는 소리가 날 수 있다. 날개뼈는 안정시 약 10~15도 정도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좌측 그림 참조) 5~10도 정도 상방으로 회전되어 있다. (즉 날개뼈 척추연이 완전 평행하지는 않다는 말) 그리고 약 35도 정도 내회전되.. 2021. 7. 18.
뉴만 키네지올로지 : 135pg~137pg AC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 날개뼈의 견봉과 쇄골이 이루는 관절을 말한다. AC관절 주변 인대와 삼각근, 상부승모근이 AC관절을 안정화시킨다. 우측의 그림에나와있듯 관절 중간에 Articular disc가 있어 이를 기준으로 관절면이 분리된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90%이상)이 퇴행성으로 인해 온전치 못한 Articular disc를 가지고 있다. (부서지거나 마모됨) A. 날개뼈의 상방회전이 일어날 때 축이 된다. (약 30˚) B. 날개뼈가 전인되는 동안 AC관절 내회전이 일어남. C. 날개뼈가 거상되는 동안 AC관절의 전방경사가 일어남. ​ AC 관절의 움직임 자체가 크지는 않아서, 그리고 그 움직임들이 단순명확하게 단어로 정의된 바가 없어서 헷갈리는데 눈을 감고 천천..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