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들의 지혜42 [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 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2/3 [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2/3 체코의 물리치료사 Karel Lewit 형님은 “통증 부위를 치료하는 사람은 환자를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잘 모르는 사람이다” 라고 하셨다. (엄청난 분이였다..https://cs.wikipedia.org/wiki/Karel_Lewit) 카렐 루이트 형님과 그의 동료였던 얀다형님은 통증을 호소하는 지점으로부터 벗어난 곳에서 통증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근육은 관절 사이에 부하를 분산시키고 신체 말단(팔/다리)의 움직임을 위해 근위부(체간/몸통)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ex)몸통근육군은 상체 혹은 하체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전에 활성화된다.(Hodges and Richardson 1997a/b) 때문에 어깨에 .. 2017. 12. 21. [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 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Part 1/3 [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1/3 체코의 물리치료사 Karel Lewit 형님은 “통증 부위를 치료하는 사람은 환자를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잘 모르는 사람이다” 라고 하셨다. (엄청난 분이였다..https://cs.wikipedia.org/wiki/Karel_Lewit) 카렐 루이트 형님과 그의 동료였던 얀다형님은 통증을 호소하는 지점으로부터 벗어난 곳에서 통증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근육은 관절 사이에 부하를 분산시키고 신체 말단(팔/다리)의 움직임을 위해 근위부(체간/몸통)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ex)몸통근육군은 상체 혹은 하체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전에 활성화된다.(Hodges and Richardson 1997a/b) 때문에 어깨에 .. 2017. 12. 21. 이전 1 ···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