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복합체(Shoulder Complex)의 신경지배(상완신경총, Brachial plexus)이다. 어지러워보이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답이 나온다. 좌측부터 보지 말고 우측부터 같이 살펴보자. 맨 우측에 위치한 Roots는 말 그대로 신경의 뿌리가 된다.
어깨와 팔의 근육들은 C5, C6, C7, C8, T1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경추는 분명 C1-7까지 존재하지만 신경은 C8까지 존재하니 기억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본격 신경 지배를 따라가기에 앞서 어깨 복합체 관련 근육 중 예외가 한 놈 있는데 바로 '승모근'이다.
승모근은 상완신경총이 아닌 부신경(제 11뇌신경)과 C3, C4 경추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다시 돌아와서,
C5, C6, C7, C8, T1이라는 중추신경계 뿌리(Roots)에서 시작된 신경은 신경몸통(Trunk)을 지나는데 신경간은 상부/중부/하부로 나뉜다. 신경몸통에서 다시 신경갈래(division)로, 신경갈래에서 신경다발(cords)로, 마지막에는 끝가지(branches)가 되어 실질적으로 근육에 연결된다.
신경뿌리 → 신경몸통 → 신경갈래 → 신경다발 → 신경끝가지 → 근육
그것을 이해하고 위 그림을 보면 한 결 보기 편안해질 것이다.
어깨 복합체는 (SC/AC/ST/GH) 총 4가지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는데
SC관절 : C3, C4의 신경뿌리를 가지며 경신경총(C1~4)으로부터 감각 지배를 받는다.
AC관절/GH관절 : C5, C6의 신경뿌리를 가지며 견갑상신경 + 액와신경을 통해 감각 지배를 받는다.
그림 좌측 맨 끝단의 신경가지에서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근육들을 위에서부터 살펴보자면
a. 근육피부신경(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nerve) → 오훼완근/상완이두근/상완근
b. 겨드랑신경 (액와신경, Axillary nerve) → 삼각근/소원근
c. 노신경 (요골신경, Radial nerve)
→ 상완삼두근/상완요골근/장요측수근신근/주근/단요측수근신근/회외근/지신근/소지신근/척추수근신근/장무지외전근/단무지신근/장무지신근/시지신근
d. 정중신경(Median nerve)
→ 원회내근/요측수근굴근/장장근/천지굴근/심지굴근/장무지굴근/방형회내근/단무지외전근/무지대립근/단무지굴근/제1,2지 충양근
e. 자신경(척골신경, Ulnar nerve)
→ 척추수근굴근/심지굴근/무지내전근/단무지굴근/장측골간근/소지외전근/소지대립근/소지굴근/배측골간근/제3,4충양근
뉴만책에는 한 페이지 남짓 간단히 서술되어 있는데 나는 그림이나 사진으로 시각화하지 않으면 이해가 잘 안되어서.. 이미지 자료를 이용해 내용을 풀어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어깨 복합체에서의 근육들의 협응을 알아보자!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선조들의 지혜 > 뉴만(Neuman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만 요약 : 어깨 관절 벌림, 날개뼈 상방회전 ~ 167pg (0) | 2021.08.29 |
---|---|
뉴만 요약 : 날개뼈 거상/하강/전인/후인 (~161pg) (0) | 2021.08.13 |
뉴만키네지올로지 : 151~155pg 요약 (0) | 2021.08.05 |
뉴만 키네지올로지 : 146~151pg 요약 (0) | 2021.08.03 |
뉴만 키네지올로지 : 141~146pg 요약 (0) | 2021.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