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조들의 지혜/운동손상증후군

처진 어깨, 날개뼈 하방회전 증후군

by 「근육 연구소」 2021. 8. 15.
반응형

'비정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를 알아야한다. 그래야 비교 기준이 생기기 때문이다.

① 날개뼈의 정상정렬

날개뼈의 척추연은 서로 평행하며 날개뼈는 흉추로부터 약 2-3인치(약 5~7.5cm) 떨어져 있다. 흉추 T2번부터 흉추 T7번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관상면을 측정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우측 그림과 같이 30˚ 가량 뒤굽음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어깨면이라 부름)

② 안정시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 (Scapula Downward Syndrome)

좌측 그림을 살펴보면

붉은색 A = 견갑골 하각

파란색 B = 견갑골 극근

검정색 C = 견갑극

이라고 한다.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을 가진 경우 A(견갑골 하각)가 B(견갑골 극근)보다 내측에 위치(척추에 가까워짐)한다. 화살표로 표시해둔 것처럼 A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날개뼈는 아래쪽으로 회전될 것이다.

날개뼈를 하방회전시키는 견갑거근과 능형근이 단축되고 날개뼈를 상방회전시키는 상부승모근은 본래 길이보다 늘어지게 된다. 그래서 자꾸 상부승모근이 굳는다. (상부승모근을 거열형에 처함..) 날개뼈의 하방회전은 날개뼈의 후인을 동반하므로 전거근의 길이도 주욱 늘어나게 된다. 늘어진 상부승모근과 단축된 견갑거근이 경추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리거나 회전시키게 되면 목 주변 통증을 호소할 수도 있다. (호소하지 않을 수도 있음)

우리가 팔을 180˚ 완전히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GH관절에서 120˚, ST관절에서 날개뼈의 회전이 60˚일어나야한다. 그런데 이미 안정시 과도한 하방회전을 가진 사람들은 팔을 완전히 들어올렸을 때 시작점이 이미 -마이너스 이므로 정상보다 더 많은 상방회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팔을 들어올릴 때 상방회전 근육들을 과사용하게 되거나 견봉아래 공간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어 어깨 충돌증후군에 매우 취약하게 된다. 안정시 과도한 날개뼈 하방회전을 가진 사람은 극상근/견봉하점액낭/이두근장두힘줄에 미세 손상이 반복될 수 있다.

팔을 들어올릴 때 상완골이 외회전하면서 상완골 대전자가 견봉아래 걸리지 않도록 견봉 뒤로 넘어가줘야하는데, 만약 상완골에서의 외회전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면 충돌의 정도는 더 심해진다.

병원에서는 단순히 이러한 미세손상, 거기에 따른 염증 반응만 조절해서는 안된다. 근본적인 원인 = 날개뼈의 부정렬을 다시 정상상태로 돌리는 것이 중요하다.

③ 안정시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이 미치는 영향

a. 흉곽탈출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어깨 관절"은 단순히 날개뼈와 상완골의 접합 부분 GH joint만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계속 강조해왔다. 어깨 관절은 = 어깨 복합체로써 쇄골/날개뼈/상완골/흉곽이 이루는 4가지 관절 SC/AC/GH/ST 관절의 협응이 중요하다.

날개뼈가 과도하게 하방회전되면 AC관절은 아래로 떨어지고, 쇄골은 SC관절을 축으로 마찬가지 아래로 하강한다. 이 때문에 쇄골 아래 위치한 상완신경총과 동/정맥이 압박되어 감각소실이나 팔저림을 느낄 수 있다. (흉곽탈출증후군, Thoracic outlet syndrome)

 

b. 상완골 아탈구 스트레스 (humeral subluxation)

두 번째로, 상완골의 탈구 스트레스이다. 안정시 날개뼈 소켓은 중력선을 기준으로 약 5˚ 상방을 바라보고 있다. 그래서 상완골 머리가 옆에 뚝 붙어있는게 아닌 약간 얹혀져 있어 아래쪽으로 탈구되지 않도록 해준다. 그러나 날개뼈가 하방회전되면 상완골이 중력에 100% 노출되게 되고, 이는 GH관절에 지속적인 아래쪽으로의 탈구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정도에 따라 탈구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관절을 붙잡기 위해 GH주변 조직, 즉 관절낭과 회전근개, 이두근 장두 힘줄이 계속 경직된다.

 

c. AC joint, 견봉 통증

 

①에서 이야기하였듯 안정시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은 능형근의 단축으로 인해 날개뼈 후인을 동반하여 전거근이 신장된다고 하였다. 팔을 들어올릴 때 전거근을 잘 사용하지 못할 경우 날개뼈를 상방회전시키기 위해 승모근을 과사용하게 된다.

승모근은 쇄골/견봉/견갑극, 즉 AC관절 주변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승모근 본인도 트리거포인트가 생기고, AC관절에도 계속 균열을 만들어낸다.

결과적으로 견봉과 AC관절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 기타 날개뼈 하방회전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흉추후만 : 흉추의 후만 때문에 팔을 들어올릴 때 날개뼈의 후방경사 + 상방회전이 제한된다.

비만 : 지방 축적으로 흉곽이 넓어지고 팔이 무거워져 GH관절에서 상완골은 외전되고 + 날개뼈는 하방회전된다.

큰 가슴 : 여성의 가슴이 크고 무거운 경우 가슴의 무게가 브래지어 끈을 통해 견갑골 외측을 끌어내려 하방회전 스트레스를 준다.

긴 허리와 짧은 팔 : 이러한 체형은 팔걸이 의자에 앉았을 때 팔을 편하게 거치할 수 없어 날개뼈가 하강+하방회전된다.

 

 

④ 날개뼈 하방회전에 대한 처치

일상 생활 중 날개뼈 하방 회전을 유도하는 행위나 환경을 교정한다. 업무나 운전, 휴식 중 사용하는 의자/책상 등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날개뼈가 무리하게 하방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여성의 경우 크고 무거운 가슴으로 인해 속옷끈이 어깨를 자꾸 끌어내린다면 어깨끈이 목과 가까운 스포츠 브라 등이 도움이 된다.

여성의 브래지어와 같은 원리로 한 쪽으로 매는 가방(크로스백) 또한 날개뼈 하방 회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백 팩이나 힙 색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한 손으로 무거운 무게를 장시간 드는 것도 하방회전을 유도하므로 피한다.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 = 부족한 상방회전과 같은 말이기 때문에 날개뼈를 상방회전 시켜주는 근육들을 강화하고 그 정상 패턴을 반복 연습한다.

어떤 느낌이 올바른 날개뼈의 상방회전인지, 안정시 어떠한 느낌과 정렬을 유지해야하는지 배워야 한다.

차렷자세에서 어깨를 으쓱(shrug)하는 것은 승모근보다 견갑거근과 능형근을 활성화시키는데 팔이 약간 외전된 상태에서 으쓱(shrug)하면 상부승모근이 활성화된다. 상부승모근 강화를 위해 Shrug 운동을 할 때는 날개뼈 전체가 아니라 '견봉'이 상승될 수 있도록 = 날개뼈가 상방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어깨 관절에서 굴곡/외전이 일어나는 동안 보조자에 의해 날개뼈 상방회전을 도움받을 수 있다. 혼자서 실시할 때는 바닥에 누워 반대손으로 날개뼈 하각을 잡고 천천히 어깨를 굴곡하면서 하각을 전방으로 당겨 날개뼈의 상방회전을 도울 수 있다.

 

네 발로 엎드린 테이블 포즈(table pose)에서 엉덩이를 뒤꿈치에 가까워지도록 앉음과 동시에 팔은 기지개를 편다. 이 과정에서 약 160˚가까운 어깨 관절 굴곡이 일어나며 날개뼈는 완전히 상방회전되어야 한다. 이 동작은 단축된 능형근과 견갑거근을 스트레치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견갑거근의 단축이 심할 경우 동작을 수행하면서 턱이 들리고 머리가 신전될 수 있다. 동작을 수행하면서

→ 날개뼈가 상방회전되고

→ 그로 인해 견갑거근은 스트레칭되는데

→ 너무 뻣뻣한 견갑거근에 의해 견갑거근의 기시점(1,2,3,4 경추 극돌기)이 딸려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효과적으로 견갑거근을 스트레칭하기 위해 동작 중에는 턱을 곧게 당겨 Neck packing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엉덩이를 들고 체중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체중은 전거근에 실리게 되는데, 환자의 전거근 근력에 따라 익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계속 날개뼈를 주시하면서 날개뼈의 익상이 일어나지 않는 선까지만 동작을 반복한다.

환자가 일상 생활이나 특정 상황에서 팔을 들어올리거나 어깨를 으쓱해야할 때에는 '어깨'라기보다는 '견봉'을 의식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 상방회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배워야한다.

끗...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