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칼럼90

스쿼트 할 때 팔 저려요, 머리아파요. 스쿼트 할 때 팔 저려요, 머리아파요. 스쿼트 할 때 팔이 저리는 경우가 있다. 왜 그런 것이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01) 원인 : 소흉근의 단축 스쿼트(백 스쿼트 기준)를 할 때 모든 상지관절은 내회전을 한다. 그래야 효과적으로 견갑골이 내전되며 가슴이 확장되고, 따라서 단단하게 몸통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다수의 사람들이 잘못된 자세 혹은 습관으로 단축된 소흉근을 가지고 있다. 스쿼트를 시작하려고 바벨을 짊어질 때, 상지관절은 내회전되며 견갑골이 내전하는 순간 흉근은 과감하게 신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길이가 짧아진 소흉근을 억지로 늘리려 하다보니 소흉근 아래 완신경총(Brachial plexus)와 쇄골하동맥(subclavianartery)이 압박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팔저림이나 .. 2019. 3. 7.
의자에 앉으면 한쪽 발 뒤꿈치만 바닥에서 떠요. 의자에 앉으면 한쪽 발 뒤꿈치만 바닥에서 떠요. 어떠한 고객이 말씀하시기를, 평소 의자에 앉으면 한쪽 다리는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잘 놓여지는데, 한쪽 다리는 뒤꿈치를 들고 까치발이 들리고 또한, 그게 더 편하며 억지로 발바닥을 붙이면 무언가 어색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하였다. 이것외에도 평소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사타구니가 덜컥거리는 듯한 느낌, 무언가 고관절이 아다리가 안맞는 듯한 느낌(의자에 앉아있다가 일어설 때)을 호소하였다. - 내 생각에는 ` 의자에 앉을 때 발바닥이 바닥에 닿지 않는 쪽 장요근(장골근)이 단축되어` 그렇지 않은 쪽보다 더 많은 고관절 굴곡이 일어났고` 이것을 보상하기 위해 까치발을 들어 무릎을 더 높게 유지하는 것이 아닐까` 또한 통증을 느꼈던 사타구니 부분이 정확히 장.. 2019. 2. 12.
스쿼트 할 때(하고 나면) 무릎 내측에 통증이 계속 있어요. 스쿼트 할 때(하고 나면) 무릎 내측에 통증이 계속 있어요. 많은 사람들이 스쿼트를 할 때(하고 나면) 무릎 내측에 통증을 호소하곤 한다. 특히 여성들에게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는데, 그 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 01. 통증의 직접적 원인은 내측광근(Vastus Medialis)의 과사용 우선 당장 아픈 무릎을 처치하려면 내측광근을 달래주어야 한다. 허벅지 앞 근육은 “사두근”으로 불리는데, 말 그대로 네 갈래의 머리(근육)이 존재하여 사두근이라 불린다. 그 중 내측에 위치한 내측광근은 하체의 후면 근육들(비복근/햄스트링/둔근)과 함께 인체의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내측 광근이 과사용되면 길이가 짧아지며 무릎에 위치한 힘줄 및 연부조직들을 자꾸 잡아당기게 되고, 신장능력이 거의 없는 .. 2019. 1. 21.
내전근 단축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 (feat.중둔근) 내전근 단축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 (feat.중둔근) 요통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수히 많다. 오늘 그 중에서도 내전근의 단축이 요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려한다. 내전근, 그들은 누구인가? 보통 내전근이라고 하면 고관절에서 내전(adduction) 움직임을 일으키는 근육들의 집합(complex)을 말한다. 치골근 / 장내전근 / 단내전근 / 대내전근 / 박근 이렇게 다섯가지의 근육이 있는데, 각 근육의 기시/정지/작용과 간단한 특징은 아래 칼럼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https://blog.naver.com/stinvvv/221432918914고관절 내전근 해부학 (엉덩관절 모음근 해부학, Hip Joint Adductor Complex Anat...고관절 내전근 해부학 (엉덩관절 모음.. 2019.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