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케이스 보고서

김00님, 날개뼈 안쪽에 통증이 있어요

by 「근육 연구소」 2023. 7. 25.
반응형

멀리 경남에서 와주셨습니다.

① 호소 증상

°· 우측 견갑골 내측연 ~ 하각 부근 통증

 

 

② 평가

 

· 안정 시 정렬 : 스웨이 백

 

 

· 상완 내/외회전 평가 → 좌측 외회전 가동성 저하, 우측 내,외회전 가동성 약간 저하

 

 

· 상완 굴곡 가동성 평가 → 우측 가동성 보상으로 인한 전만, 좌측 가동성 크게 저하

 

 

고관절 굴곡 평가 → 우측 햄스트링 단축

 

 

· 고관절 내.외회전 평가 → 양측 내회전 제한

 

 

한 다리 평가 → 우측 닫힌 골반

 

③ 처치

 전반적인 운동 손상의 형태는 좌측 견갑골에서 나타났으나, 통증 경감을 우선으로 처치하기 위해 수기 근막 이완으로 우측 대능형근을 꼼꼼히 풀었습니다. 평가 중 상완 굴곡 검사에서 좌측에서 가동성이 크게 제한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는데, 견갑상완리듬의 견갑골 하각 운동성이 나타나고 있지 않았습니다.

 하여, 수동으로 하각과 겨드랑이를 찔러 하각의 위치가 액와중심선에 오도록 유도하였습니다. 이 결과, 김00님의 가동성은 크게 호전되었으나 여전히 AC 관절에서 탁음이 발생하여 소흉근에 대한 스트레칭 및 근막 이완을 교육하였습니다. 좌측에서 큰 통증을 느끼셨고 처치 후 팔을 돌리셨을 때 굉장히 매끄럽게 움직인다 말씀 주셨습니다.

 통증과 운동 손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국소적인 재교육보다는 전반적인 견갑골의 부족한 후방 기움에 대해 이해를 시켜드리고 양측에 대한 견갑골 가동성과 정렬 회복 전략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먼저 하부 승모근 + 전거근의 보강운동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Cat - Cow 동작을 통해 사슬 반응에 의한 움직임을 학습하였고, 이를 적용해 하부 승모근과 전거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작을 지도하였습니다.

 전거근의 기능과 근력이 다소 떨어져 있는 상태라 직접 방해를 하며 자세의 유지보다는 방해물에 대해 대항하여 힘을 강제로 끌어올리도록 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판단했습니다.

 

 하부 승모근 + 전거근의 활성을 확인하고 해당 테크닉을 그대로 본운동에 전이시켜 가벼운 덤벨 운동과 케이블 운동, 맨몸 운동으로 견갑골 움직임이 중요한 상지 운동으로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낮은 무게는 아니었으나, 올바른 원리를 끝까지 집중하여 잘 유지해 주신 덕분에 근육의 피로도가 굉장히 심했고 특히, 전거근에서 팔조차 들기 힘들어하실 정도로 피로도가 누적된 것을 수업 중 같이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당연히, 모든 동작에서 견갑골 내측연의 통증이 말끔히 사라진 것 역시 말씀해 주셨고 평가 동작에서 걸렸던 부분을 다시 확인하여 통증과 움직임 손상이 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상완 굴곡 평가에서는 오히려 가동성이 더 떨어졌는데 이는 운동 손상이 아닌 전거근의 강한 피로도로 인해!).

 

 

 

④ 논의

김00님께서 운동 신경이 좋으시고 경력이 있으셨기에 간단한 큐잉만으로 개선되는 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스웨이 백 정렬을 개선하지 않으면 상지의 운동 손상은 다시 재발할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스트레칭과 근막이완 동작을 숙제로 포함하여 제공해 드렸고 무엇보다 견갑골 내측연의 통증을 잡고 상완 굴곡 제한을 개선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너무나 기쁜 수업이 되었습니다.

아직 하지의 부정렬을 개선시켜야 하는 숙제가 있지만 이것 또한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방법을 알려드리고 혼자서도 잘 처치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릴 것을 약속드렸습니다. 케이스 보고서 허락해 주심과 먼 길 찾아와주시고 믿고 맡겨주심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D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uscle.lab.9609/

근육 연구소 개인 레슨/세미나 문의 : http://pf.kakao.com/_VGxjxmxj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