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 자가발전소/오늘의 번역

지방 패드 증후군이란? (Fat Pad Syndrome)

by 「근육 연구소」 2023. 1. 13.
반응형

<근육 연구소>의 오역과 의역이 난무하는 '오늘의 번역'이다. 오늘의 주제는 지방 패드 증후군, '증후군'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발병 원인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고 다양한 원인들이 결합되어 나타나 처치가 까다롭다. 그래서 지방 패드 증후군이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외국 자료를 번역해 본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오역과 의역이 난무하기 때문에 꼭! 글 말미에 위치한 원문 링크를 방문하여 읽어보길 바란다.


Q. 지방 패드 증후군이란?

위 그림에 표기된 Infrapatellar fat pad, 슬개하 지방 패드에 급성 혹은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을 이야기한다. 호파병이나 지방 패드 증후군, hoffitis라고도 불린다. 1904년 Albert Hoffa형님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어 형님 이름을 따왔다.

지방 패드 증후군의 특징은 무릎 전방으로 방사되는 통증이고 종종 슬개골 뒤쪽이나 아래쪽에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계단을 내려오거나 쪼그려 앉기, 달리기와 같이 무릎에 부하를 줄 경우 염발음이 나타날 수 있다. 슬개건 주변의 부종과 감소된 무릎 관절 가동 범위 또한 지방 패드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Q. 슬개하 지방 패드의 해부학과 역할은?

 
그림 출처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877349/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슬개건 뒤쪽에 위치하여 무릎 연골(반월판)과도 닿아있다. (그래서 연골/인대/힘줄 등에 2차적인 염증 및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지방 패드는 무릎 관절 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키고 무릎 관절이 접고 펴질 때 슬개골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유연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의역) 또한 지방 패드 내에는 신경 세포와 기계 수용기가 많이 있어 고유수용감각기능에 큰 도움을 준다.

* 고유수용감각기능 : 3차원 공간 상의 사지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능력, 점프 후 착지할 때 우리는 발을 보지 않아도 발의 위치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이 고유수용감각기능이다. 한번 부상/수술을 하게 되면 많은 감각기가 파괴되어 2차적인 부상을 가져오게 되므로 재활 막바지에는 꼭 고유수용감각기능 회복 훈련을 추가해야 한다.

그림 출처 : 뉴만 키네지올로지 11pg

슬개하 지방 패드는 동적인 구조로써 무릎 관절의 전체적인 가동 범위 안에서 위치/압력/부피를 변화시킨다. 무릎이 굴곡될 때 지방 패드의 외측 부분이 이완되고 팽창하여 뒤쪽으로 움직인다. 무릎이 펴질 때는 외측 슬개골 면과 대퇴사두근 힘줄 사이에 놓여있는데,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무릎이 펴질 때 통증이 유발된다. 허나 간혹 일부 지방 패드가 슬개건과 대퇴골 전면 사이에 끼이는 경우 무릎을 접을 때도 통증이 나타난다.

또한 슬개하 지방 패드는 대퇴골과 무릎 관절낭이 서로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해주는데, 지방 패드의 유착이 있을 경우 슬개골과 슬개건의 위치가 변화하여 무릎 관절의 역학이 비효율적으로 변하게 된다. → 이것은 대퇴사두근이 작동할 수 있는 무릎 관절의 모멘트 암, 즉 신체 지레의 변화를 가져와서 무릎을 펼 때 대퇴사두근이 필요 이상의 힘을 쓰게 된다. (대퇴사두근 과사용 촉진)

여러 가지 연구에서 무릎 전방 통증을 가진 사람의 경우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협응 문제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고, 무릎 지방 패드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고 계단 오르기 시 대퇴사두근의 근전도를 검사한 결과 대퇴사두근의 수축이 매우 지연되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슬개하 지방 패드가 어떠한 이유로든 억제되면 대퇴사두근 활성화 그 자체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원문에서는 아직 명확한 인과관계를 확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조금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이 필요할 것이라 이야기했다.)

Q. 슬개하 지방 패드의 대사작용?

연구 초기에는 지방 패드가 관절 내부의 활액 흐름을 돕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고 보았는데, 현재는 슬개하 지방 패드에 존재하는 다양한 신경 섬유 및 기계 수용기들로 인하여 더 정교하고 많은 일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슬개하 지방 패드도 결국 '지방 조직'이기 때문에 염증을 유발하는 지방산을 분비한다. 그뿐만 아니라 OA(아마도 OsteoArthritis, 골관절염을 말하는 듯)와 관련된 염증 물질들의 생산자이기도 하다.

Q. 슬개하 지방 패드 신드롬의 병태생리학? (그래서 왜 생기는데..?)

이름부터 증후군이라 발병 원인에 대해서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슬개하 지방 패드의 위치와 역할을 미루어 짐작했을 때 반복적인 스트레스, 과사용, 스포츠/낙상과 같은 미세 외상으로부터의 손상은 곧 조직의 비대를 불러일으킨다. 미세 손상은 회복되는 과정에서 필히 염증을 동반하는데, 제대로 회복되지 않으면 만성적으로 염증에 노출된다. 때문에 제대로 처치하지 않으면 조직이 섬유화되거나 골화되어 딱딱하고 질긴 조직으로 변모할 수 있다.

Q. 슬개하 지방 패드 진단 및 테스트

염증이 생긴 지방 패드는 비대해지고 단단해져 촉진하기 매우 쉽다.

사진 출처 : https://youtu.be/QqiYXrrBtpc

* Hoffa's Test 슬개하 지방 패드 증후군 테스트

① 좌측 사진과 같이 편하게 자리에 앉은 상태에서 피험자의 무릎이 살짝 구부러지게 둔다.

② 시험자는 슬개골 아래 슬개건 양옆 부위를 손가락으로 압박한다. 이렇게 하면 비대해진 지방 패드가 경골/대퇴골 사이 공간으로 쏙 들어간다.

③ 시험자에 의한 수동적 무릎 신전을 실시한다. 이때 통증이 사라진다면 양성이다.

④ 이후에는 지방 패드에 대한 손가락 압박을 유지한 상태로 시험자 스스로 능동적 무릎 신전을 해보면서 증상을 살펴본다.

또 간단한 테스트로는 의자에 앉아 뒤꿈치를 하늘로 올리면서 무릎을 펴면 경골에 대한 압박력을 높여 무릎을 과신전 시킬 수 있는데, 이때 통증이 나타난다면 지방 패드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Q. PFPS(슬개대퇴 통증 증후군)과 FPS(지방 패드 증후군)의 차이점?

가장 큰 특징을 비교해 보았을 때, 지방 패드 증후군은 무릎을 접을 때보다 펼 때 통증이 크게 나타나고 평평한 신발을 신을 때 증상이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지방 패드 증후군의 경우 무릎이 쉽게 붓는다.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은 그 반대)

Q. 슬개하 지방 패드 증후군의 영상 촬영

당연한 말이겠지만 MRI 촬영이 제일 정확하고 좋다. 지방 패드의 부종과 무릎 점액낭에 생긴 염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참고할 만한 사항으로는 초음파 촬영 중 무릎의 움직임을 관찰했을 때 타이트한 IT band를 가지고 있을 경우 지방 패드의 외측과 충돌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Q. 급성 슬개하 지방 패드 증후군의 관리 방법?

일반적으로 낙상이나 무릎 관련 외상, 관절경 장비를 이용한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의 완화를 보인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는 테이핑, 물리치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이 크게 도움 되지 않는다면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얼음찜질은 급성으로 부풀어 오른 지방 패드를 진정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다. 지방 패드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이핑을 이용하여 압박해 줄 수 있다. 평평한 신발은 지방 패드에 전달되는 부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뒷 굽이 조금 있는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급성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격한 신체 활동은 금하는 것이 좋다.

지방 패드 증후군 관련 테이핑 방법 : https://youtu.be/Xy7CibqEUtQ

지방 패드 증후군 관련 슬개골 가동성 마사지 : https://youtu.be/KR_peakgyi4

Q. 만성적인 슬개하 지방 패드 증후군의 관리 방법?

직접적인 외상 병력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과사용) 무릎의 과도한 신전을 막기 위해 굽이 높은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대퇴사두근과 고관절 전면(장요근, 봉공근 등)의 스트레칭이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중(BMI)을 줄이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체중 감량 및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지방 패드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조사하였을 때 체중 및 체지방의 감량 이후 슬개하 지방 패드의 상당한 부피 감소를 보였다.

Q. 근육 연구소의 접근 방법?

나라면 어떻게 할까? 우선 급성 사고의 경우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일이니 병원에 맡기고, 우리가 신경 쓸 수 있는 부분은 만성적인 손상이다. 결국 글의 요지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미세 외상'이 반복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그 염증이 만성화되어 지방 패드가 비대해지며, 비대해진 지방 패드가 주변 조직들과 마찰/충돌을 일으키며 통증이 반복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거꾸로 돌아가서 지방 패드에 반복적인 외상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면 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만약 내가 지방 패드 증후군 환자의 재활을 시작한다면 고관절 후방 관절낭의 이완부터 시작할 것이다. 왜냐하면 결국 무릎에 나타나는 모든 과사용 통증은 뻣뻣한 고관절로 인해 무릎 관절에 전달되는 과도한 부하가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계단을 오르거나 달리기, 수영, 축구, 등산 등 다양한 움직임을 수행할 때 대퇴골은 두 가지의 선택권을 가진다.

1) 대퇴골의 머리가 고관절 뒤편으로 당겨진다.

2) 대퇴골의 꼬리가 무릎으로 돌진한다.

의자에 앉을 때 좌골이 아닌 허리로 뭉개져 앉는 습관, 웨이트 트레이닝 시 엉덩이를 강제로 조이는 큐잉을 사용할 경우, 골반을 열지 않고 과도한 스트레칭을 실시하게 되면 엉덩이와 고관절 관절낭 후면은 타이트해져 공간이 사라진다. 그렇게 되면 움직임이 일어날 때 대퇴골이 엉덩이 뒤편으로 당겨지지 못하고 그럼 반대편 무릎으로 돌진하게 된다.

그 결과 무릎 관절은 과도하게 잠기게 되고 (과신전) 이는 지방 패드는 물론 무릎 연골, 전방십자인대 등 모든 무릎 조직에 큰 부담을 주게 된다.

먼저 뻣뻣한 엉덩이 주변을 성실하게 마사지한 뒤, 골반의 전/후방경사를 교육한다. 닫힌 사슬에서 골반의 전방 경사는 곧 고관절 굴곡을 의미한다. 골반이 전방 경사되면 고관절 후방 관절낭이 이완되며 대퇴골은 무릎이 아닌 엉덩이 뒤편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 결과 무릎 관절 내 전달되던 과도한 부하가 사라지게 된다.

그 이후에는 계속해서 엉덩이 주변을 스트레칭해 주어 평상시에도 고관절 후면에 여유 공간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이 단계까지 성실히 잘 수행했다면 스쿼트, 데드리프트, 런지 등을 실시하면서 실제 움직임이 일어날 때 무릎이 아닌 고관절 후면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도록 반복적인 연습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끝!

※ 원문 출처 : https://www.physio-pedia.com/Fat_Pad_Syndrome?utm_source=physiopedia&utm_medium=search&utm_campaign=ongoing_internal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근육 연구소 셀프 통증 관리 클래스 : https://class101.page.link/Re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