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 자가발전소/오늘의 번역

(오늘의 번역) Craig Test와 고관절 전념

by 「근육 연구소」 2021. 11. 8.
반응형

① 환자는 자리에 엎드려 무릎 관절을 90˚ 구부린다.

② 그 다음 시험자는 대퇴골 대전자를 촉지한 뒤

③ 대전자가 피험자 가장 외측에 도달할 때까지 수동적으로 내회전을 시킨다.

④ 대전자가 가장 외측에 도달했을 때의 내회전 각도를 측정한다.

a) 성인의 경우 8~15˚가 정상 범주

b) 15˚ 이상의 경우 O다리 혹은 비둘기 걸음을 보일 수 있다. (아래 사진 참조)

c) 8˚ 이하에서는 반대로 후념됨을 의미한다.

Craig Test 결과로 발생되는 내회전 각도를 FAA (Femoral neck Anteversion Angle)이라고 하는데, 이 각도가 커지면 고관절을 굴곡시킬 때 모멘트 암이 길어져 장요근을 쓰기 어려워지고, 반대로 신전시킬 때는 모멘트암이 짧아져서 대둔근을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FAA가 커지면 무릎 관절 (한 눈에 보기에도;)에 전달되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보행 중 골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종종 경골(정강이)의 보상 외회전을 보이기도 한다.

FAA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면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개골 병변, 고관절 골관절염, 대퇴비구충돌 등 여러가지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남자보다 여성에게서 흔히 발견된다. FAA의 증가도 문제지만 FAA의 양쪽 불균형 또한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시킬 수 있다.

https://youtu.be/Qi41LYsVy1E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문의 : https://blog.naver.com/stinvvv/222461259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