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칼럼

고관절 외전의 근수축 패턴 테스트 + 중둔근 전면/후면 섬유 근력 테스트, 중둔근 재활 운동 2가지

by 「근육 연구소」 2022. 9. 10.
반응형

① 중둔근은 관상면 상의 골반/고관절의 균형, 즉 인간의 좌/우 밸런스를 잡아주는데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한다.

② 인간은 보행 중 한 발로 서는 구간(swing phase)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 발로 체중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골반의 좌/우 밸런스를 얼마나 잘 유지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이 밸런스가 무너지면 무게 중심 및 관절 역학이 바뀌어 요통, 천장관절 통증, 무릎 통증, 정강이 회전, 평발 등의 결과가 나타난다.

③ 중둔근의 약화는 근막장근 및 요방형근의 과도한 보상을 유발한다.

④ 첫 번째 Hip abduction Pattern Test는 말 그대로 고관절 외전시 정상적인 순서로 근육이 수축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테스트이다.

⑤ 시험자는 우측의 사진처럼 한 손으로 피험자의 요방형근을 촉진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근막장근과 중둔근 섬유를 촉진한다.

⑥ 피험자는 골반의 전방/후방경사 or 내/외회전 없이 고관절을 외전할 수 있어야 한다.

⑦ ★ 올바른 수축 패턴은

중둔근 → 근막장근 → 마지막 약간의(25˚) 골반 상승과 함께 요방형근 수축이다.

⑧ 만약 중둔근의 수축의 지연/부재가 있다면 근막장근과 요방형근은 과사용되고, 단축이 발생하게 된다.

⑨ 위 사진은 중둔근 전면과 후면 섬유 각각의 근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⑩ 중둔근 전면 섬유의 근력을 체크하기 위해 일반적인 고관절 외전 상태에서 시험자는 허벅지를 아래로 누른다. 저항할 수 있다면 정상으로 본다.

⑫ 중둔근 후면 섬유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고관절을 외전과 함께 약간 신전시킨 뒤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한다. 저항할 수 있다면 정상으로 본다.

⑬ 약해진 중둔근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

루프 밴드를 이용해 무릎과 고관절을 약간 굴곡시킨 뒤 고관절 외전을 반복한다. 위 동작은 열린 사슬 운동으로써 중둔근의 '단축성 수축'을 유도하기 때문에 단순 활성의 목적만 가질 뿐 실질적인 재활 효과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15회 X 3세트 반복

짐볼을 이용한 닫힌 사슬 중둔근 운동, 짐볼을 골반 옆에 두고 한 발로 서서 짝다리를 짚는다. 그럼 중둔근이 신장되고 골반은 올라간다. 이제 골반의 위치를 재정렬시키면 골반이 내려가고 중둔근이 수축한다.

엉덩이 외측 상단에 힘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했으면 30초간 기다려준다. 그 다음 걸어보면 발목이 매우 견고하고 편해진 것을 느낄 수 있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