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칼럼

좌골신경통과 재활 운동

by 「근육 연구소」 2022. 6. 30.
반응형

요추에서 하지로 뻗는 좌골신경이 디스크 탈출 혹은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단축으로 인해 자극받으면 좌골신경에 영향을 받는 근육들에 신경 자극이 생겨 통증이 일어난다.

좌골신경통 참고 링크 : https://blog.naver.com/captain4528/222730303937?isInf=true

좌골신경통을 처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영구적인 방법과 영구적인 방법이 있다.

▶ 반영구적인 방법 : 신경을 압박하는 주변 근육을 수기 마사지하여 풀어낸다. 그럼 신경 압박/포착이 풀어지며 신경통이 사라지게 된다. 이 방법의 장점은 빠르다는 것, 잘만 풀어내면 그 순간부터 바로 멀쩡해진다. 단점으로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빠르면 며칠, 늦으면 몇 개월에서 1년 이내 쉽게 재발한다. 물론 또 풀어내면 또 멀쩡해진다. 무한 반복..

▶ 영구적인 방법 : 신경을 압박하는 주변 조직을 풀어낸 뒤, 다시는 신경 압박을 하지 못하도록 근본적인 원인을 처치한다. 일반적으로 좌골신경통을 유발하는 원인은 이상근을 포함한 심부외회전근의 단축인데, 이들은 어깨로 치면 회전근개와 같은 역할을 한다. 고관절이 움직일 때 회전축을 잘 유지하여 끼임이나 탈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준다.

그런데 우리 몸은 1)코어 근육이 약화되어 체간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2) 장요근/대둔근의 근력이 약해지면심부외회전근을 쥐어짜서 안정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그래서 위 반영구적인 방법, 직접 마사지하여 다 풀어내더라도 본인의 좋지 못한 자세 습관이나 근육 불균형을 해결하지 않으면 언젠가 다시 재발하는 것이다.

영구적으로 해결하려면 근본적인 원인을 거꾸로 타고 올라가서 해결하면 된다.

 

횡격막 호흡을 연마하여 요추와 흉추사이의 안정성을 확보해주고, 장요근과 대둔근의 올바른 길항 패턴을 재정립하여 관절중심화를 잘 이룰 수 있게 해주면 더 이상 심부 외회전근을 쥐어짜지 않아도 되니 결과적으로 좌골신경통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 재활 운동 방법

① 폼롤러나 마사지 볼을 이용해 좌골 주변을 마사지해 준다. 위와 같이 다리를 꼬고 엉덩이 외측과 외측 상단 주변부를 샅샅이 풀어준다. 아픈 곳이 있다면 해당 부위를 집중적으로 풀어낸다.

 

② 뒷구리를 팽창시킨다는 느낌으로 깊게 호흡하며 횡격막을 자극한다. 들숨과 날숨 사이에 1초 정도 숨을 참으면 횡격막을 더욱 자 사용할 수 있다.

 

 

③ 축구 인사이드 패스하듯 고관절 외회전 + 굴곡한 뒤 등척성 수축으로 버텨준다. (장골근)

자리에 엎드려 무릎 관절 구부린 뒤 고관절을 신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햄스트링 억제하면서 대둔근 자극 가능 (대둔근)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