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주변 뼈대들의 정렬이 이상적이지 못하면 체형과 옷 매무새가 아름답지 못하지요. 현대인의 좌식 생활 및 운동 부족은 여러가지 어깨 정렬 손상을 가져왔습니다.
누군가는 어깨가 너무 상승되어 어깨가 경직되고 목이 짧아보여 스트레스를 받는 반면, 누군가는 어깨가 아래로 너무 떨어져 (옷걸이형 어깨) 옷맵시가 안나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오늘은 '처진 어깨'와 함께 쉬러그(으쓱 운동)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처진 어깨라 함은 크게 두 가지,
(1) 날개뼈의 하강
(2) 날개뼈의 하방 회전
이 있습니다.
날개뼈의 하강은
- 쇄골이 일직선인가?
- 날개뼈 상각이 T2보다 아래에 있는가?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stinvvv/222503361985
쳐진 어깨, 날개뼈 하강 증후군 (scapula depression syndrome), 그리고 해결 방법
① 날개뼈 하방 회전 증후군과의 차이점 견갑골 하방회전 증후군과 비슷하지만 견갑골을 하방 회전 시키는 ...
blog.naver.com
두 번째로 '날개뼈의 하방회전'에 의한 어깨 처짐은
- 날개뼈 하각이 상각보다 척추에 가까울 때
발생하게 됩니다.
처진 어깨, 날개뼈 하방회전 증후군
'비정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비교 기준이 생기...
blog.naver.com
두 가지 어깨 처짐이 구분이 좀 되실까요? 단순한 날개뼈 하강은 날개뼈의 회전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하방 회전에 의한 처짐은 날개뼈의 회전을 동반하기 때문에 날개뼈의 익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어깨 처짐들은 날개뼈를 위로 거상+상방회전시키는 상부승모근의 약화 및 과도한 신장과 경우에 따라 능형근 단축 및 전거근 약화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쉬러그(shrug) 운동을 실시하는데요, 하지만 이 쉬러그 운동도 잘못 수행하게 되면 오히려 어깨 처짐을 더 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상부 승모근은 날개뼈를 위로 상승시키고 위쪽으로 상방회전시켜줍니다만 견갑거근은 날개뼈를 위로 상승시키는 한편 하방회전을 유도합니다.
팔을 차렷자세로 실시하는 쉬러그 운동은 견갑거근과 함께 능형근을 크게 자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날개뼈를 위로 거상/상방회전 시키고 싶어서 실시하는 운동이 도리어 날개뼈를 아래로 회전시키는 근육들을 강화하는 꼴이 되어버리는 것입니다.
처진 어깨를 교정하기 위해 상부승모근 강화 운동을 하고 싶다면
(1) 팔을 120˚ 가량 벌리거나 (외전)
(2) 완전히 만세(180˚굴곡/외전)한 상태에서
쉬러그 운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날개뼈를 하강/하방회전 시키는 근육들을 억제하며 상부승모근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깨가 처지면 늘어난 상부승모근에 의해 어깨가 계속 경직되고 두통까지 유발할 수 있어요. 게다가 견봉 아래 공간을 유지하기 어려워 충돌증후군이 발생하기도 쉽고, 상완골이 최적 위치에 있지 못해 회전근개를 포함한 어깨 주변 안정화 근육들이 항상 경직되어 있어야 합니다.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D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재활 : 기능적 평가 (0) | 2022.03.31 |
---|---|
평발에 관한 고찰 (0) | 2022.03.22 |
「근육 연구소」가 말하는 수영과 달리기의 차이 (0) | 2022.01.27 |
우리는 왜 sway back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가? (0) | 2021.10.29 |
유산소(달리기) 할 때 (or 하고 나면) 골반이 찝혀요 ㅜ (2) | 202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