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해부학

근막의 기능과 종류 (PART 2/2)

by 「근육 연구소」 2022. 2. 22.
반응형

근막의 기능과 종류 (PART1/2)은 여기를 클릭!


ⅲ 대퇴근막(Fascia lata)

대퇴근막은 IT band로 불리기도 하는데요, Iliac crest(장골능)의 I와 Tibia(경골)의 T를 이어주기 떄문에 그렇게 불리웁니다. 근위부에서는 대둔근과 대퇴근막장근(TFL)과 이어져 있으며 허벅지 측면을 활주하여 원위부에서는 경골 외측상과에 붙습니다.

발바닥이 바닥에 닿은 닫힌 사슬 운동을 할 때(걷기/달리기 시 한 발로 서는 구간) 둔근과 대퇴근막장근이 동시 수축하여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외측광근의 수축에 힘 입어 대퇴근막은 무릎 안정성에도 깊게 관여하는데요, 대퇴근막이 과도하게 경직되면 내반슬을 유도, 고관절 찝힘이나 무릎 외측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무릎 관절의 역학을 바꾸어 연골 손상도 일으킬 수 있으니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합니다.

ⅳ 족저근막 (plantar fascia)

족저근막은 본래 아킬레스건에서 나온 근막의 연속체인데요, 발 뒤꿈치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을 지나 다섯 발가락으로 이어집니다. 족저근막은 한 발로 서 있을 때 (걷기/달리기/계단오르기 등) 발바닥이 무너지지 않도록 장력을 제공합니다. 이 장력이 어떠한 이유로 무너지는 것을 우리는 평발이라고 부르지요.

족저근막의 긴장이 과도하게 사라져 발바닥 아치가 무너지면 하지 전체가 내측으로 무너지게 됩니다. 이는 다시 요추와 골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몸통 부분의 조절 능력이 사라져 하지 및 체간에 여러가지 부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