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조들의 지혜/뉴만(Neumann)

뉴만 키네지올로지 : 138~140pg 요약

by 「근육 연구소」 2021. 7. 18.
반응형

ST 관절 (Scapulothoracic Joint) : 날개뼈와 체간이 이루는 가상의 관절

날개뼈와 체간 뒤편은 전거근, 능형근, 기립근, 견갑하근 등 여러가지 근육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음. 그래서 날개뼈가 몸통 위에서 여러가지 움직임을 수행할 때 다양한 근육들의 도움을 받게 됨. 참고로 ST joint와 GH joint가 어깨 관절 움직임 시 가장 많은 가동범위를 책임지게 된다.

만약 ST 관절 주변 근육들의 불균형이 있다면 날개뼈가 체간이 걸리면서 드르륵, 뿌드득 하는 소리가 날 수 있다.

 

날개뼈는 안정시 약 10~15도 정도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좌측 그림 참조) 5~10도 정도 상방으로 회전되어 있다. (즉 날개뼈 척추연이 완전 평행하지는 않다는 말) 그리고 약 35도 정도 내회전되어 있음. 어깨 주변 관절의 불균형을 다시 정상화하려면 먼저 '정상'이라는 형태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함. 그래야 그것을 기준으로 어떤 근육이, 어떤 패턴이 지금 문제를 일으키는지 유추가 가능함.

 

 

지난 시간 AC관절에서 이야기 나눈 것처럼, 견봉/쇄골 관절과 흉골/쇄골 관절을 축으로 하여 ST 관절 또한 움직임을 만들어냄. (자세한 사항은 위 파란 글씨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

여하튼, AC/SC 관절의 도움과 함께 ST 관절이 움직임에 따라 GH관절을 이루는 기반, 즉 날개뼈 소켓이 적절한 위치로 이동해주어 팔을 들거나, 팔을 옆으로 뻗어도 그 스트레스를 체간이 받아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특히나 어깨충돌증후군,

팔을 들어올릴 때 ST관절 상에서 날개뼈가 충분히 상방회전됨으로써 견봉아래 공간을 확보해 극상근 힘줄이나 활액낭에 자극, 염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준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

근육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