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조들의 지혜/뉴만(Neumann)

뉴만 키네지올로지 : 125pg ~ 128pg 요약

by 「근육 연구소」 2021. 7. 7.
반응형

125pg는 챕터 5 (어깨 복합체)의 시작이다.

'복장뼈'의 소개로 시작된다. 시작에 앞서.. 신체 해부학에는 용어가 두 가지 존재한다.

구舊용어와 신新용어. (+그리고 영어..)

체육학 계통에서는 여전히 구용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의학쪽에서는 완전히 신용어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구용어는 영어(정확히는 라틴어)로 된 각 조직의 이름을 한자어로 번역했다.

예를 들어 Rectus abdominis는 식스팩, 복근을 의미하는데

Rectus → 곧은 (straight)

Abdominis → 복부 (abdomen)

복부에 곧게 뻗은 근육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이것을 예전에는 배 복 + 곧을 직 + 근육. '복직근'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게 일본식 해부학 용어를 따다 만든거라서 이제는 한글로 풀어서 '배곧은근'이라고 한다.

뉴만은 옮긴이 대부분이 물리치료학 교수님들이여서 그런지 전부 신용어.. 나도 이제 옛날 사람이라 구용어가 편하지만 어쩔 수 없다..

잡설은 역시 재밌다. 다시 본론으로 ㄱㄱ

 


 

복장뼈에는 쇄골과 더불어 대흉근이 붙는다. 마찬가지 쇄골과 함께 목빗근(= 흉쇄유돌근, 어색어색)이 붙는다. 목빗근, 즉 흉쇄유돌근은 흉골+쇄골+유양 돌기(우측 그림 참조)에 붙어서 흉쇄유돌근이다.

그 밖에 복장뼈(흉골) 관련 깊은 내용은 나와있지 않은데 빼먹을 수 없는 것이 흉골-쇄골이 이루는 관절, SC 관절이다. 어깨는 관절이 오지게도 많다. ST관절, SC관절, AC관절, GH관절.. 이거를 단순히 외우려고 하면 머리에 절대 안들어온다. 그냥 뼈다구 앞글자를 따온거니까 천천히 생각해보면 된다.

ST? Scapula 날개뼈랑.. T.. Thoracic 흉추 ? 아 날개뼈가 흉곽위에 붕붕 떠 있는 가상의 관절을 말하는 거구나!

SC? S.. Sternum 복장뼈랑.. C..? Clavicle 쇄골? 아 흉골이랑 쇄골이랑 맞닿는 관절!

AC? 흠.. A는.. Acromion 견봉? C..? 아 아까 Clavicle 쇄골! 그럼 견봉이랑 쇄골이랑 맞닿는 관절이겠네?

GH? 어깨에 G가 뭐가 있지.. 아! Glenoid 관절순! H ? Humeral 상완골, 아! 날개뼈 소켓이랑 상완골 머리가 닿는 거기!

이런 식으로 변태같이 이해해야 평생 안까먹는다.

삼천포로 계속 빠지는데, 흉골과 쇄골이 이루는 SC 관절은 인대가 칭칭 감겨 있어 엄청 단단하다. 그래서 SC관절이 탈구될 정도의 스트레스가 전달되면 탈구되기 전에 골절되는 경우가 많다. (탈구될바엔 부숴버리겠어..?)

어깨 관절이 180도 외전할 때(ST 60도 + GH 120도) 쇄골은 안정시 0도에서 약 25도정도 상승된다. (AC관절은 약 35도)

그 다음은 날개뼈가 나온다. '날개뼈'는 구용어.. 신용어는 '어깨뼈'이다.

찬찬히~ 감상하자. 좌측 A는 후면인데 가운데 Spine 가시가 있다. 한자로는 '극'

그래서 가시를 기준으로 두고 그 위는 '가시의 위에 있는 근육 → 가시위근'인데 한자로는 '극 위에 위에 있는 근육 → 극상근'이 된다. 반대로 '가시 아래에 있는 근육 → 가시아래근' 한자로는 '극 아래 있는 근육 → 극하근'이 된다. 벌써 근육 두 개를 꽁으로 배웠다.

날개뼈 후면(A)에는 아까 가시를 기준으로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그리고 날개뼈 가쪽 모서리에 작은 원근(소원근)까지 회전근개 3개가 위치해 있다.

전면(B)에는 손바닥 같이 넓은 면(어깨밑오목)에 어깨밑근(견갑하근) 하나가 존재한다.

위에 Acromion은 나중에 쇄골(Clavicle)과 함께 앞 글자를 따서 AC관절을 형성한다.

Glenoid fossa는 드디어 상완골 머리와 만나는 관절 오목 지점이다. Glenoid Fossa 위와 아래에는 각각 결절 (주변과 비교하여 눈에 띄게 솟음)이 있는데 'Supra'는 위라는 뜻, 그래서 저 녀석은 나중에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의 긴머리 힘줄(장두건)에 부착점이 되어준다. 반대로 'Infra'는 아래라는 뜻. 저 녀석은 나중에 위팔세갈래근(삼두근)의 긴머리(장두)의 부착점이 되어준다.

 

Supra / Infra 어디서 많이 듣지 않았던가? 아까 날개뼈의 극 Spine을 기준으로 위에 있어서 극상근, 아래에 있어서 극하근이라고 했는데 극상근이 영어로 `Supra`spinatus, 극하근은? 그렇다. `Infra`spinatus가 된다. 나는 해부학 선생님이 됐어야 했다. 너무 잘 가르킴.


지금 시간 새벽 3시 14분,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 푹 좀 자고 낼 또 이어서 위팔뼈 고고씽!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5089

근육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