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
1.파워랑 스트렝스가 틀리다고 하던데 차이가 뭔가요?
2.각각 훈련은 어떻게 해야되고 어떻게 다른가요?
3.격투기선수한테는 어떤 운동이 더 도움이 될까요?
-
A.
장코치(장우현)입니다.
-
1.파워랑 스트렝스가 틀리다고 하던데 차이가 뭔가요?
스트렝스 = 순수 근력
파워 = 스트렝스 * 속도
즉, 스트렝스라는 순수 근력을 기반으로 속도 훈련을 추가해서 근수축 속도를 늘리는 것이 "파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각각 훈련은 어떻게 해야되고 어떻게 다른가요?
스트렝스 훈련의 경우 한번에 얼마나 많은 근섬유를 동원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고중량*저반복*많은 쉬는 시간을 갖습니다.
우리 몸은
PCr시스템/무산소성해당과정/유산소성해당과정
이렇게 3가지 대사과정이 있는데, 이 중에서도 첫번째 PCr을 사용하는 대사과정을 훈련하는 것 입니다.
파워 훈련의 경우 본인 1RM의 40-60%RM으로 필요에 따라 5-15회 이상까지 반복합니다. 스트렝스 훈련을 하면 중량 때문에 근 수축속도는 자연히 더뎌집니다. 그래서 스트렝스 훈련만 하면 스피드를 잃을 수 있습니다. 스트렝스 훈련과 함께 낮은 무게로 빠른 리프팅을 실시해서 근수축속도를 빠르게 살려주는 훈련도 필요하겠습니다.
3.격투기선수한테는 어떤 운동이 더 도움이 될까요?
위 2번에서 3가지의 대사과정을 설명드렸는데, 격투기 종목의 경우 PCr/무산소/유산소 과정을 모두 사용하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첫번 째,두번 째 무산소성 대사과정이 많이 이용됩니다.
따라서 30초 이내에 끝나는 고강도 훈련과 함께 2분 이내에 끝나는 고중강도 훈련을 통해 PCr/무산소 대사과정 능력을 기르는 것이 경기에 있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특히 3-5분 경기 후 비교적 짧은 (1분) 휴식을 갖는 격투기 종목 특성상 인터벌 훈련이 매우 적합해 보입니다.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분할에서 2분할 운동으로 바꾸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0) | 2018.04.18 |
---|---|
턱걸이 데드행으로 하루 55개정도 하... (0) | 2018.04.18 |
유툽으로보며 최대한 정자세로 하고있는데요 (무반동, 허리를 아치형으로 명치가 바에 닿는느낌 , 팔꿈치가 몸에 (0) | 2018.04.05 |
PR, REP 무슨 뜻이죠? (0) | 2018.04.05 |
탄수화물 지방 에너지원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