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업개수17

[근막경선해부학] 표면전방선 The Superficial Front Line [근막경선해부학] 표면전방선 The Superficial Front Line 같은 내용을 몇 번 정리하는 지 모르겠다. 모든 서적이 그러하듯 1번 읽을 때 다르고 2번 읽을 때 다르고 3번 읽을 때 또 다르다. 종이에 한번 인쇄된 글자들은 변하지 않는다. 다만 처음으로 돌아와서 다시 읽을 때 즈음에는 그간 공부하고 운동했던 것들이 종합되어, 같은 구절을 읽어도 이해되는 면적이 다르다고 해야할까? 세종형님은 책 한권을 100번씩 읽으셨다는데, 그렇게 까지는 못하더라도 어떠한 책이던 10번은 읽어야 본질이 보인다는 것이 내 지론이다. (그렇게 그는 보카 노랭이를 8번 보고 끝내 포기했다고 한다..) - 표면전방선은 당연 측면(시상면)에서 보았을 때 표면후방선과 함께 신체균형을 이룬다. 표면후방선의 경우 태아.. 2018. 2. 1.
견갑골 X (전거근-능형근/소흉근-하부 승모근) [근막경선해부학] 견갑골 X 어깨관절은 우리 몸 그 어떤 관절보다도 큰 가동성을 갖고 있다. 어깨관절 그룹군을 살펴보면, 쇄골의 제한된 움직임에 비해 상완골은 매우 큰 운동범위를 갖는다. 때문에 상완골의 큰 운동범위를 커버하기 위해 관절와를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것은 견갑골이다. 견갑골은 흉곽 뒤에 둥둥 떠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주변 연부조직의 긴장통합(tensegrity)이 중요하다. 견갑골을 뒤에서 바라보면 거의 모든 방향으로 근육들이 잡아 당기고 있다. 이들 중 오늘 우리가 살펴볼 녀석들은 4가지, 견갑골의 안정성과 자세 위치를 결정하는 “능형근-전거근 / 소흉근-승모근” 이다. 먼저 전거근과 능형근은 직접 맞닿아있지 않지만 내측연을 기준으로 서로 밀접한 상호보완 관계를 이룬다. 전거근은 견갑골.. 2018. 1. 30.
운동의 순서, 유산소 먼저? 무산소 먼저? 운동의 순서, 유산소 먼저? 무산소 먼저? 장코치(장우현)입니다. 체육관에서 운동을 할 때, 유산소 운동이 먼저일까요? 무산소 운동이 먼저일까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무산소 운동”이 먼저입니다. 왜 그런지 살펴볼까요? - 학창시절, 우리 몸의 에너지원은 3가지라고 배웠습니다. 탄수화물/단백질/지방. 그러나 단백질의 경우 에너지원으로써의 역할보다는 신체구성의 역할이 최우선입니다. 따라서 남은 건 탄수화물과 지방이 있는데, 탄수화물의 경우 에너지 대사가 비교적 간단하여 빠른 시간에 에너지원(ATP)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탄수화물은 몸에 저장할 수 있는 양이 그렇게 많지 않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한정적입니다.(약 400~600g = 1600~2400kcal) (간과 근육에만 저장할 수.. 2018. 1. 29.
벤치프레스 1rm Q.제가 벤치프레스 85kg 6세트 10회 솔직히 (3세트부터 9회8회임) 칠수있는데 다른사람들은 막 100- 130키로 넘게들고 하는데 제가 힘이약한가 하고 생각해봤는데 5회 3회 1rm 하는 무게 였던거임? 제 1rm은 몇임? - A. 장코치(장우현)입니다. - 1RM의 측정은 "직접측정법"과 "간접측정법"이 있습니다. 직접측정법의 경우 가장 정확하지만 그에 필요한 도구와 장소, 보조자, 그리고 잠재적 위험성이 따르는 단점이 있습니다. 간접측정법의 경우 3RM내지 5RM, 10RM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인데, 직접측정법에 비하면 정확도는 조금 떨어지지만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간접측정법은 1RM = 들어올린 중량의 무게 + (들어올린 중량의 무게 X 들어올린 .. 2018.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