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당피티64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을 어떻게 구별할까?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을 어떻게 구별할까? 흔히 헬스장에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은 무산소 운동, 달리기나 수영, 걷기 운동은 유산소라고 구분 짓는다. 이러한 기준이 정말 유/무산소 운동을 구별하는 방법일까? 우리 몸은 크게 3가지의 에너지 대사를 가진다. 유/무산소 운동의 구별을 설명하기에 앞서, 왜 에너지 대사가 중요하냐면 우리가 “운동”이라고 하는 것은 근육의 반복적 수축/이완을 통해 뼈대를 움직이고, 그 힘으로 토크를 만들어내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뼈대를 움직이기 위해 근육이 수축/이완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ATP라는 에너지원이 필요하다. (이 상세과정은 여기서 다루지 않겠다.) 그런데 이 에너지원(ATP)은 운동 중 우리 몸의 여러 가지 에너지 대사 과정의 결과물로써 .. 2018. 3. 5.
5머슬업 10딥스 10풀업 2018. 2. 27.
관절운동에대해 Q.한관절만쓴다 3관절을 쓴다 이게 무슨뜻이죠. 예를들면 사이드 할때 어깨 관절만 쓰니까 사이드가 한관절운동이다라고 표현하는겁니까? 그럼 스쿼트로보죠. 스쿼트 무릎,골반만 움직이죠 어깨와 팔꿈치는 바벨을잡고 고정된상태에서 하죠. 그럼 두관절을쓴다 라고하는건가요? 2 관절을많이쓰면 더 많은 무게를 들수있나요? 그래서 한관절을쓰는 레이즈운동은 무게를 낮게하는게 맞다 라고 표현하나요? - A. 장코치(장우현)입니다. - "관절을 하나만 쓴다" (단관절 운동)는 말은 레그 컬이나 레그 익스텐션, 암 컬과 같은 단순관절운동을 말합니다. 신체는 여러 관절의 복합적인 운동으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데, 단 관절운동은 다른 관절은 고정해두고 하나의 관절만을 움직여 근육을 자극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관절 운동의 경우 질.. 2018. 2. 27.
데드리프트 & 스쿼트 Q.제가 요즘 핼스에 빠져서 살고 있는데요.루틴을 6일운동 1일 휴식으로 진행을 하고 첫날은 push, 둘째날은 pull, 그리고 셋째날은 하체로 나누어서 두번 반복하고 하루 쉬는 방식으로 진행중입니다.그런데 저는 pull 하는 날에 데드리프트를, 하체하는 날에 스쿼트를 하는데자세가 잘못된 것인지 데드리프트로 인해 피로해진 근육이 스쿼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서무게를 더 올리지 못하게 되네요. 질문 드리고 싶은 것은 데드리프트를 3일에 한번씩 해주어야 하는지, 혹은 스쿼트를 해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또 그래야 한다면 제가 지금 1RM 기준으로 데드리프트는 190kg, 스쿼트는 150kg 정도를 들 수 있는데 무게를 확 낮추어서 진행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또 3대운동은 근육의 성장도 성장이지만 .. 2018.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