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생리학15

호흡교환율(RER),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POC) 장코치 생리학 -글루코스와 지방대사동안 방출되는 에너지 중 40%만이 에너지로 사용되며, 나머지 60%는 열에너지로 손실된다. -인체에 의해 사용되는 에너지 양을 추정하려면 어떠한 영양소를 소비중인지 (탄/단/지) 알아야한다. -간접적 칼로리 측정법 중 호흡교환율(Respiratory Exchange Ratio:RER)은 운동강도에 따라 사용되는 탄수화물(무산소성대사)/지질(유산소성대사)의 사용비를 나타낸다. 탄/단/지를 구성하는 탄소의 개수를 감안한 계산방식인데 계산방법까지는 알 필요 없고 다만, 안정시 호흡교환율(RER)은 0.8로써 지방과 탄수화물을 약7:3의 비율로 사용한다. 운동강도가 상승하면 그 만큼 RER은 높아지며 강도가 낮아질수록 RER은 낮아진다. (전체량이 아닌 비율을 말하는 것이므로.. 2017. 12. 22.
장코치 운동생리학 트레이닝에 따른 신체반응 1.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의 차이를 설명하라. 근지구력 : 고강도의 반복운동 또는 정적 운동을 유지하는 하나의 근육 또는 근육군의 능력.최대근력 및 무산소적 파워 발달과 높은 관련이 있다. 심폐지구력 : 큰 근육군을 사용하는 동적 형태의 전신운동을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능력. 장시간 동안 운동근으로의 산소 운반을 유지할 수 있는 심혈관계와 호흡계의 능력 발달과 관련이 있다. 유산소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근육의 능력을 말한다.(=유산소지구력) 2.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란 무엇인가? 생리학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며, 무엇이 그 상한을 결정짓는가? 최대강도에서 운동 시 획득가능 한 최대 산소 소비율을 말한다. Fick의 공식에 의해 정의되는 VO2max는 최대심박출량과 동-정맥산소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 2017. 12. 22.
장코치 운동생리학 운동 및 심혈관계 1. 운동강도가 올라가면 심박수, 1회 박출량, 그리고 심박출량이 어뗗게 반응하는지 설명하시오. 심박수 : 운동강도 상승과 비례하여 거의 최대 운동 강도에 도달할 때 까지 증가함. 최대 운동강도에 도달하면 운동강도가 증가해도 심박수가 정체되는데 이를 ‘최대 심박수’ 라고 한다. 1회 박출량 : VO2MAX의 약 40-60%사이에 운동까지는 운동 강도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정체기가 되어 탈진상태까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심박출량 : 운동 중인 근육의 증가된 혈류량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운동강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우리는 어떻게 HRmax를 측정할 수 있는가? 대체 가능한 간접 측정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이 간접측정의 주요 제한점은 무엇인가? 간.. 2017.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