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생리학

장코치 운동생리학 트레이닝에 따른 신체반응

by 「근육 연구소」 2017. 12. 22.
반응형

1.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의 차이를 설명하라.


 근지구력 :

 고강도의 반복운동 또는 정적 운동을 유지하는 하나의 근육 또는 근육군의 능력.

최대근력 및 무산소적 파워 발달과 높은 관련이 있다.


 심폐지구력 :

 큰 근육군을 사용하는 동적 형태의 전신운동을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능력. 장시간 동안 운동근으로의 산소 운반을 유지할 수 있는 심혈관계와 호흡계의 능력 발달과 관련이 있다.

 유산소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근육의 능력을 말한다.(=유산소지구력)




2.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란 무엇인가? 생리학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며, 무엇이 그

 상한을 결정짓는가?


 최대강도에서 운동 시 획득가능 한 최대 산소 소비율을 말한다. Fick의 공식에 의해 정의되는 VO2max는 최대심박출량과 동-정맥산소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지구력 수행능력에 있어서 최대산소섭취량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같은 강도에 운동을 하더라도 VO2max가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적은 양의 산소를 사용하므로 운동수행능력이 증가된다.

 



4. 지구력 트레이닝으로 일어나는 산소운반체계의 변화를 기술하라.


 심장의 크기 증가, 심박수 증가, 혈류 및 혈액량 증가, 1회박출량 및 심박출량, 혈압 증가

 



5. 최대산소섭취량과 수행능력 증가를 일으키는 지구력 트레이닝에 대한 반응으로서

 일어나는 신체의 가장 중요한 적응은 무엇인가?


1회 박출량 증가 :

 지구력 트레이닝으로 인한 혈장량 상승+심박수 저하로 인해 확장말기용량은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곧 박출량의 증가로 이어진다. 1회 박출량이 증가하면 운동 중 그 만큼 많은 양의 혈액(산소 및 에너지)을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수행능력을 증가시킨다.





6. 지구력 트레이닝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대사적 적응은 무엇인가?


 젖산역치:

 훈련이 된 상태에서는 젖산이 혈액에 축적되기 시작하기 전에 개인의 최대산소섭취량의 높은 퍼센티지에서 운동할 수 있다. 더 잘 단련될 경우 같은 운동 강도에서 트레이닝 전에 비해 혈중 젖산 농도가 더욱 낮아진다.


 호흡 교환율:

 트레이닝 이후 절대적 최대하 운동 강도 및 상대적 최대하 운동 강도 모두에서 RER이 감소한다. 이는 트레이닝 전에 비해 같은 운동강도에서 탄수화물 대신에 유리지방산이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최대산소섭취량:

 최대강도에서 운동 시 획득할 수 있는 최대 산소 소비율. 트레이닝 이후 Fick공식에 의거 심박출량-동정맥산소차 증가로 인해 활동근에 더 많은 산소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되고 이는 운동수행능력의 증가를 이룬다.


7. 지구력 트레이닝에 의한 최대산소섭취량 증가를 설명할 수 있는 두 가지 이론을 설명하라.

 이 중 어느 것이 오늘날 더 타당성이 있는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지구력은 미토콘드리아 내에 산화효소 농도가 충분하지 못하여 제한받는다.

 2. 말초와 중추 심혈관 요소들이 지구성 능력을 제한한다.


 연구들은 2번째 이론을 더 신뢰하고 있는데, 많은 연구에서 혈액의 양, 혹은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비율을 조절하였을 때 그 만큼의 VO2max의 감소가 있었다. 이를 통해 VO2max의 제한은 활동근으로의 산소운반 그 자체이지 미토콘드리아와 산화효소의 양이 아닌 것으로 결론나고 있다. 그들은 트레이닝에 의한 VO2max의 증가는 활동근으로의 혈류량 극대화 및 근육 모세혈관 밀도의 증가로 기인한다고 하였다. 골격근 자체의 적응은 지속적인 높은 강도의 최대하 운동 수행능력을 증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ttps://open.kakao.com/me/stinvv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