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코치 생리학
-글루코스와 지방대사동안 방출되는 에너지 중 40%만이 에너지로 사용되며, 나머지 60%는 열에너지로 손실된다.
-인체에 의해 사용되는 에너지 양을 추정하려면 어떠한 영양소를 소비중인지 (탄/단/지) 알아야한다.
-간접적 칼로리 측정법 중 호흡교환율(Respiratory Exchange Ratio:RER)은
운동강도에 따라 사용되는 탄수화물(무산소성대사)/지질(유산소성대사)의 사용비를 나타낸다.
탄/단/지를 구성하는 탄소의 개수를 감안한 계산방식인데 계산방법까지는 알 필요 없고 다만, 안정시 호흡교환율(RER)은 0.8로써 지방과 탄수화물을 약7:3의 비율로 사용한다. 운동강도가 상승하면 그 만큼 RER은 높아지며 강도가 낮아질수록 RER은 낮아진다. (전체량이 아닌 비율을 말하는 것이므로 주의할 것!)
흔히 아는 최대산소섭취량 VO2MAX(운동강도가 상승하여도 섭취산소량의 증가가 없는 한계지점)과 별개로, VO2peak는 피험자(혹은 선수)의 자의적 피로를 말한다.
트레이닝을 통해 VO2MAX가 증가하지만 이러한 증가는 약8~12주가량동안만 이어지며 그 이후에는 더 높은 강도의 트레이닝을 한다고 하여도 VO2MAX는 정체된다.
[장코치 사견 : VO2MAX는 단순 최대산소량의 한계지점을 나타내므로 지구력훈련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모세혈관, 심폐기관의 발달, 호흡근 및 호흡보조근신경 활성화 등을 통해 지구력의 추가적인 향상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선수 개개인의 Type 1, 2, 2x 등의 근섬유 구성비도 간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25세~30세 이후 비활동적인 사람의 VO2MAX는 1년에 약 1%가 감소되며 생물적노화+비활동적 생활방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POC)
신체의 산소요구량은 운동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증가하지만 유산소적과정이 충분히 진행되는데(항정상태까지)에는 몇 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운동강도가 낮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산소부족량’부분은 운동시작과 동시에 신체에서 요구하는 산소량을 따라가지못해 산소부족현상이 일어나는데, 인체는 이것을 체내 남아있는산소와 무산소성대사를 통해서 ‘퉁’치게 된다.
이후 운동이 지속됨에 따라 항정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운동종료 후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초과섭취량(EPOC), 앞서 지었던 빚을 갚게된다. 운동종료 후 처음 끌어다 썼던 PCr의 재합성이나 해당과정에 의한 부산물들, 체온조절 등을 위해 필요산소량을 초과하여 호흡하는 것을 뜻한다. (운동중단 후 산소섭취량은 오히려 약간 더 상승한다. EPOC 때문에!)
(계단을 몇층 올라간 후 심장이 빠르게 박동하고 호흡이 가빠지는 것을 느낀다!)
그러나 최근연구에서는 기존 EPOC의 이론이 너무 단순하다고 하였다. 운동 후 호흡량이 일시적으로 높아져 유지되는 것은 조직에 누적된 CO2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것이고, 운동 중 노르에피네프린/에피네프린에 의한 흥분상태 또한 EPOC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고로 EPOC는 단순히 ATP와 PCr을 재보충하고 무산소성 대사로 인한 젖산을 제거하는 것 보다도 더 많은 요인에 좌우된다는 것이다.
(성남분
https://open.kakao.com/me/stinvvv
당모란PT/성남개인피티잘하는곳/장코치개인트레이닝/장코치재활트레이닝/모란피티/성남피티/성남체형교정/분당체형교정/비수술재활/허리통증/성남피티/장코치피티/장코치컨디셔닝/판교모란성남분당헬스/판교피티/직장인피티/체중감량/다이어트전문)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편 (0) | 2018.10.18 |
---|---|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을 어떻게 구별할까? (0) | 2018.03.05 |
운동의 순서, 유산소 먼저? 무산소 먼저? (0) | 2018.01.29 |
장코치 운동생리학 트레이닝에 따른 신체반응 (0) | 2017.12.22 |
장코치 운동생리학 운동 및 심혈관계 (0) | 2017.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