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생리학15 스포츠 심장에 관한 말! 말! 말! 지구력 트레이닝에 의해 적응이 일어나면 심장의 근육부피와 심실의 용적이 증가한다. 심장에서도 가장 힘든 일을 맡고 있는 좌심실에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나는데, 강도 높은 근력 운동을 하게 되면 높은 후부하를 극복하기 위해 좌심실의 근육벽이 두꺼워 진다. 다만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지구성 훈련만으로도 심실벽이 두꺼워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MRI를 이용한 Milliken et al의 연구, 그리고 Fagard가 1996년에 실시한 방대한 횡단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구성 운동을 통해 좌심실 크기와 벽 두께가 커진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지구성 트레이닝을 하게되면 좌심실의 용적이 증가한다. 이러한 좌심실의 공간 증가는 좌심실의 혈액 충만 증가와 1회 박출량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증가된 부교감 신경계의 .. 2020. 1. 7.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카페인(Caffeine)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카페인(Caffeine) 카페인은 커피/홍차/코코아/콜라/아스피린 등 우리 주위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카페인은 뇌에 있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함으로써 중추신경계를 자극한다. 효과는 약하지만 형태는 암페타민과 유사하다. 카페인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일반적으로 집중력/정신적-신체적 각성/반응시간의 단축/지방 대사 촉진 등을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유리지방산의 동원과 이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글리코겐을 절약하여 지구성 운동의 지속시간과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신체능력 개선을 위해서는 음식으로부터 얻는 것 보다는 알약 형태가 더 큰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커피와 같은 음.. 2018. 12. 12.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베타차단제 선수들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일반 아마추어들에게도 있어 퍼포먼스의 향상 혹은 외적 미용을 위해 약물과 보충제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늘은 각 약물과 보충제들의 특성과 함께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한다.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호르몬과 약물2. 식이보충물 - [베타차단제란 무엇인가] 교감신경계는 아드레날린 신경을 통해 인체 기능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자극 전달은 표적세포에서 대사를 활발하게 만들고 신체를 전투 상태로 만든다. “아드레날”은 신장 부신을 뜻하며 에피네프린이라고도 불린다. (메틸기가 떨어지면 노르에피네프린이라고 불리는데 에피네프린과 하는 일은 같으나 그 정도는 더 약하다.) (그림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018. 10. 29.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L-카르니틴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L-카르니틴 선수들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일반 아마추어들에게도 있어 퍼포먼스의 향상 혹은 외적 미용을 위해 약물과 보충제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늘은 각 약물과 보충제들의 특성과 함께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한다.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호르몬과 약물2. 식이보충물 L-카르니틴은 "아미노산리신"과 "메티오닌"의 합성물질로써 긴-사슬 지방산을 에너지산화를 위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 발전소로써 산소성 대사를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원(ATP)을 생산해낸다.) 또한 카르니틴은 미토콘드리아 내의 글루코스와 아미노산 분해에 영향.. 2018. 10. 2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