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생리학15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성장호르몬(HGH)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성장호르몬(HGH) 선수들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일반 아마추어들에게도 있어 퍼포먼스의 향상 혹은 외적 미용을 위해 약물과 보충제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늘은 각 약물과 보충제들의 특성과 함께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한다.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호르몬과 약물2. 식이보충물 - [성장호르몬(HGH)의 특징]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인 성장 호르몬 (Human Growth Hormone, 이하 HGH)는 뼈와 골격근의 성장을 촉진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혈당 수준 유지, 근육 세포 속으로 글루코스 및 아미노산의 흡수를 촉진, 지방세포로부터.. 2018. 10. 22.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편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편 선수들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일반 아마추어들에게도 있어 퍼포먼스의 향상 혹은 외적 미용을 위해 약물과 보충제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늘은 각 약물과 보충제들의 특성과 함께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한다.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호르몬과 약물2. 식이보충물 -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호르몬으로는 테스토스테론과 그것의 합성 유도체라고 할 수 있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남성 호르몬의 합성 유도체로써 생리적으로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여 근육의 크기와 신체 질량, 근력의 향상을 가져온다. 부가적으로 남성의 2차 성징(체모).. 2018. 10. 18.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을 어떻게 구별할까?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을 어떻게 구별할까? 흔히 헬스장에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은 무산소 운동, 달리기나 수영, 걷기 운동은 유산소라고 구분 짓는다. 이러한 기준이 정말 유/무산소 운동을 구별하는 방법일까? 우리 몸은 크게 3가지의 에너지 대사를 가진다. 유/무산소 운동의 구별을 설명하기에 앞서, 왜 에너지 대사가 중요하냐면 우리가 “운동”이라고 하는 것은 근육의 반복적 수축/이완을 통해 뼈대를 움직이고, 그 힘으로 토크를 만들어내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뼈대를 움직이기 위해 근육이 수축/이완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ATP라는 에너지원이 필요하다. (이 상세과정은 여기서 다루지 않겠다.) 그런데 이 에너지원(ATP)은 운동 중 우리 몸의 여러 가지 에너지 대사 과정의 결과물로써 .. 2018. 3. 5. 운동의 순서, 유산소 먼저? 무산소 먼저? 운동의 순서, 유산소 먼저? 무산소 먼저? 장코치(장우현)입니다. 체육관에서 운동을 할 때, 유산소 운동이 먼저일까요? 무산소 운동이 먼저일까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무산소 운동”이 먼저입니다. 왜 그런지 살펴볼까요? - 학창시절, 우리 몸의 에너지원은 3가지라고 배웠습니다. 탄수화물/단백질/지방. 그러나 단백질의 경우 에너지원으로써의 역할보다는 신체구성의 역할이 최우선입니다. 따라서 남은 건 탄수화물과 지방이 있는데, 탄수화물의 경우 에너지 대사가 비교적 간단하여 빠른 시간에 에너지원(ATP)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탄수화물은 몸에 저장할 수 있는 양이 그렇게 많지 않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한정적입니다.(약 400~600g = 1600~2400kcal) (간과 근육에만 저장할 수.. 2018. 1. 2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