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카페인(Caffeine)
카페인은 커피/홍차/코코아/콜라/아스피린 등 우리 주위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카페인은 뇌에 있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함으로써 중추신경계를 자극한다. 효과는 약하지만 형태는 암페타민과 유사하다.
카페인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일반적으로 집중력/정신적-신체적 각성/반응시간의 단축/지방 대사 촉진 등을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유리지방산의 동원과 이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글리코겐을 절약하여 지구성 운동의 지속시간과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신체능력 개선을 위해서는 음식으로부터 얻는 것 보다는 알약 형태가 더 큰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커피와 같은 음식으로부터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효능은 나타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하게 될 것이다. 심지어 커피 속 특정 성분들은 카페인의 효능을 막는다.)
훈련된 운동선수가 아니라면 근력/파워 운동에 있어 카페인이 가져다 줄 효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정신적 각성
` 집중력 증가
` 피로의 감소 / 피로의 시작 감소
` 카테콜아민 분비 증가 (교감신경 자극물질)
`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s) 동워 증가
` 근육의 중성지방 이용 증가
단시간의 스프린트나 파워 종목의 경우 그 연구가 빈약하나 일반적으로 카페인을 통해 근형질 세망에서 칼슘의 교환을 촉진하는 나트륨-칼륨 펌프의 활동을 증가시켜 활동 막전위를 보다 매끄럽게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훈련된 선수들에게 카페인을 복용하게 하고 운동수행능력을 비교하였는데, 유산소 운동 능력의 경우 약 29%, 근력에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카페인 사용의 부작용
` 신경과민
` 불안
` 불면증
` 떨림
` 이뇨작용
카페인 섭취를 갑자기 중단할 경우
` 두통
` 피로감
` 불안감
` 위장 불편감
등을 가져올 수 있다. 고온지역의 경우 카페인 섭취로 인한 심장질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카페인을 몸무게당 9mg 이상 섭취하면 부작용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로 커피 한잔의 카페인 양은 물과 접촉하는 시간에 비례한다. 때문에 진한 에스프레소보다 드립커피 한잔에 들어있는 카페인의 양이 더 많다. ) 카페인은 세계반도핑위원회의 사용금지 목록에 포함된 바 있으나 2004년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시중에 나와있는 커피 제품의 카페인 함량표 (출처 : 위키백과)
* 참고 문헌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 : 대한미디어
NSCA 체력관리의 정수 : 대한미디어
네이버 백과사전 : 카테콜아민
위키백과
장코치 다른 칼럼 둘러보기 : https://blog.naver.com/stinvvv
개인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me/stinvvv
![](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ssl.pstatic.net%2Fstatic%2Fblank.gif%22&type=w480)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로(fatigue)란 무엇인가? (0) | 2020.01.10 |
---|---|
스포츠 심장에 관한 말! 말! 말! (0) | 2020.01.07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베타차단제 (0) | 2018.10.29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L-카르니틴 (0) | 2018.10.25 |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성장호르몬(HGH) (0) | 201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