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지식in

근육이 많으면 건강에 좋다던데 내공100

by 「근육 연구소」 2017. 12. 29.
반응형

Q.

저번에 뉴스에서 근육이 신체에 많으면 많을수록 몸이 열을 보호해주고 성인병에 걸릴확률이

근육양이 어느정도 적은 사람에 비해서 몇배가량 낮아진다는 뉴스였죠 
제가 궁금한것은 근육이 많으면 정말로 건강에 좋은건지 정말로 건강에 좋다면 그게
왜 건강에 좋은건지 궁금합니다 무슨 원리나 구조로 인해서 좋은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


 판교 장코치(장우현)입니다.

-

 이러한 질문에 답변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제 스스로도 한번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겠네요.

1. 생리학적 이점

 우리 몸이 자동차라고 가정하였을 때 몸에 근육량이 많다는 것은 배기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단 운동 뿐 아니라 가만히 휴식할 때에도 소모되는 칼로리량에서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살이 안찌는 체질"이라고 흔히 말하지요.

 농업의 발달로 우리 식탁에는 과거와 비교하여 탄수화물 식품들이 많이 올라오게 됩니다. 탄수화물은 분명 중요한 에너지원이지만 탄수화물의 형태로 몸에 저장할 수 있는 양은 매우 한정적입니다. (약400~600g정도) 그래서 소비 및 저장하고 남는 탄수화물은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게 되는데, 지방 저장량이 많아지면 아시다시피 많은 성인병의 원인이 되지요?

 그리고 탄수화물의 최종산물은 "당(글루코스)"입니다. 정말 무식하게 설명드리자면 설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당은 몸에서 사용하기 쉬운 에너지원임과 동시에 조직에 있으면 조직을 부식하게 만들고 또 과도한 당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낮춰 혈관 건강을 망칩니다. (당뇨의 시작)

 그 이후에는 각 종 심혈관질환, 대사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이죠. 서론에서 언급했듯 근육량이 많아지면 배기량이 커집니다. 즉 같은 탄수화물양을 먹더라도 근육량이 많다면 그 만큼 더 많이 소모하니까 대사 질환의 위험으로부터 보다 벗어날 수 있겠죠?


 2. 운동학적 이점

 30세 이후부터 신체의 근육량이 매년 1%씩 줄어듭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근육량의 저하, 특히 Type ll 섬유의 급격한 퇴화-sarcopenia) 근육은 뼈대를 기반으로 우리 몸을 지지하고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주요한 역할을 하는데, 근육량의 저하, 특히 코어근육군의 근력 및 근육량 저하는 요통이나 무릎통증 등 각종 외과질환을 유발합니다. 

 온몸에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은 심장의 펌프질로 부터 시작되는데요, 온 몸 구석구석으로 신선한 혈액을 배출하는 것은 "심장"라는 펌프가 있지만, 호흡교환 후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머금은 정맥혈을 다시 심장으로 회귀시켜는데에는 골격근(+판막)의 역할이 중요하죠.

 근육량이 줄어들면 이 정맥회귀가 점점 어려워지게되고, 심할 경우 판막과 함께 혈액이 혈관에 갇혀버려 "하지정맥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우선은 간단히 답변하였는데, 질문이 너무 좋아서 따로 칼럼을 제대로 작성해봐야 겠네요. 위 생리학/운동학적 이점으로 인해 몸에 근육량이 줄어들면 삶의 질에서 차이가 나게 됩니다.

 몸이 아프면 정말 스트레스잖아요! ㅎㅎ

 조금이나마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me/stinvvv

장우현-장코치
성남/분당/판교 개인 트레이닝 및 체형교정, 컨디셔닝 전문 장코치입니다.
open.kaka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