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케이스 보고서

김**님, 골반 불균형 및 무릎 통증 (근육 연구소의 자세/움직임 평가)

by 「근육 연구소」 2023. 4. 6.
반응형

① 햄스트링 평가

짧아진 햄스트링은 효율적인 고관절 굴곡을 방해하여 대퇴골두가 소켓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② 고관절 내회전 부족

고관절 내회전 부족은 체간 안정성이 부족한 사람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을 과도하게 쥐어 짜면서 발생합니다. 이 경우 걷기부터 스쿼트까지, 다양한 하체 움직임이 일어날 때 고관절 뒤쪽 관절낭의 공간이 제한되어 대퇴골을 전방으로 밀어내 골반 찡김이나 대퇴골의 과도한 내전, 발목의 엎침(평발)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③ 고관절 신전

인간의 고관절 신전 정상 가동 범위는 약 10-15˚ 정도인데요, 약화된 하복부와 둔근은 골반의 전방경사 및 요추 신전을 막아주지 못하여 위와 같은 과신전을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고관절이 신전될 때 둔근이 아닌 햄스트링이 우선 작동하는 경우에도 대퇴골이 전방으로 이동하며 위와 같은 고관절 과신전 및 요추 전만(골반 전방경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④ 한 발 서기

인간의 호흡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보행인데요, 인간은 보행할 때 다음 걸음으로 발과 체중을 옮기기 위해 한 발로 서는 구간이 존재합니다. (흔듦기) 이때 골반의 평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면 고관절 내전/내회전과 발목의 엎침이 일어나면서 체간의 안정성이 소실됩니다.

이 경우

· 발가락으로 바닥을 꼬집어 보상하거나

· 위 김**님과 같이 엉덩이를 쥐어짜 보상하게됨 (둔근이 경직되어 대퇴골이 앞으로 밀려나고 골반은 아래로 떨어짐)

· 고관절 후방 관절낭이 제한되어 골반이 아닌 무릎 or 발목에 체중이 실리게 됨 → 무릎/발목 통증 유발

우측은 고관절 후방 관절낭과 둔근을 쥐어짜지 않고 열어주는 방법을 잠시 교육한 뒤 일시적으로 수행한 모습입니다. 둔근과 관절낭이 이완되어 대퇴골 머리가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그 결과 골반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추가사항

김**님은 수영을 즐겨하시는데 평영을 수행할 때 이따금씩 무릎 통증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평영 발차기는 곧 고관절 내회전을 의미하는데요, 고관절 내회전이 부족한 상태에서 물에 저항하며 평형 발차기를 하면 무릎 내측과 골반 외측에 큰 스트레스를 주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절 가동성이 확보될 때까지는 평영을 자제하기로 약속하였습니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uscle.lab.9609/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pf.kakao.com/_VGxjxmxj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