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론

날개뼈 하강or하방회전 증후군을 위한 큐잉

by 「근육 연구소」 2022. 4. 5.
반응형

안녕하세요? 「 근육 연구소 」 입니다.

이론을 바탕으로 원인을 파악했다면 그것을 일반인(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마 '큐잉'일 것입니다. 효과적인 큐잉은 단순히 말 한-두마디 일지언정 신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합니다.

최근 느끼는 것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의 어깨가 아래로 쳐져있다는 것인데요, 특히 웨이트를 즐겨하는 남성들의 경우 '숄더 패킹' 날개뼈를 후인+하강 하는 것에 대한 집착 때문인지 날개뼈 하강이나 하방회전 증후군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stinvvv/222503361985

 

쳐진 어깨, 날개뼈 하강 증후군 (scapula depression syndrome), 그리고 해결 방법

① 날개뼈 하방 회전 증후군과의 차이점 견갑골 하방회전 증후군과 비슷하지만 견갑골을 하방 회전 시키는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tinvvv/222470491699

 

처진 어깨, 날개뼈 하방회전 증후군

'비정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비교 기준이 생기...

blog.naver.com

하강 증후군 및 하방회전 증후군에 대해서는 위 링크를 참조하시면 도움될 것 같습니다.

결국 "안정시 날개뼈의 상방회전 및 거상을 어떻게 유도할 것인가"가 문제인데요,

"날개뼈로 흉곽을 감싼다고 생각해보세요." 라는 큐잉은 어떨까 싶습니다.

본래 날개뼈는 위와 같이 흉곽위를 미끄러지면서 가상의 관절인 ST 관절을 형성합니다.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전거근과 상부승모근의 이완 및 약화가 생기고 능형근과 소흉근, 대흉근과 광배근 등이 과활성화되면서 날개뼈가 아래로 회전하거나 쳐지게 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긴장된 근육에 대한 이완과 약화된 근육에 대한 강화도 필요하지만 '날개뼈로 흉곽을 감싸안는다'라고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실천하면 곧 바로 날개뼈가 슬며시 전인+상방회전+거상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100% 모두에게 통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마치 보디빌더들이 날개뼈와 광배근을 힘껏 펼치듯 날개뼈가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입니다. 안정시 및 상체 운동시 해당 느낌을 유지할 수 있다면 날개뼈 하강/하방회전 증후군에서 생각보다 쉽게 벗어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포옹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날개뼈는 전인과 함께 흉추가 후만되어 둥근 형태의 등 모양을 취하게 됩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플랭크 동작을 실시하면서 '날개뼈로 바닥을 껴안는다' 라고 생각하면 억지로 날개뼈를 전인하느라 광배근이나 소흉근이 경직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날개뼈가 전인되면서 흉추가 후만될 것입니다.

 

저는 이 큐잉으로 큰 결실을 얻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도 분명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① 특정 현상에 대한 해부학적 이론/사실을 인지함과 동시에

② 그것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몸을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큐잉

을 고민 또 고민하는 것이 저와 같은 체육지도자들이 풀어야할 숙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