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근육의 생김새와 해부학적 움직임
삼각근(Deltoid)이라는 이름의 기원은 그리스어 "Delta → △"의 모양과 유사함을 뜻하는 그리스어 "oid"가 합쳐져서 Deltoid가 되었다. 위 그림과 같이 전면, 측면, 후면으로 나눌 수 있다. 지난번 다루었던 '상완이두근'처럼 시작점은 다른데 붙는 점은 하나이다.
전면 : 쇄골의 외측 1/3 지점에서 시작된다.
측면 : 견봉의 외측에서 시작된다.
후면 : 견갑극에서 시작된다.
부착 지점(insertion)은 세 가지 모두 상완골 삼각근조면이다.
근육은 절대 단독으로 작동하지 않지만 단순히 삼각근만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전면 : 쇄골의 외측 1/3 지점에서 시작된다. (어깨 관절 굴곡 + 어깨 관절 내회전 + 수평 내전)
측면 : 견봉의 외측에서 시작된다. (어깨 관절 90도 외전)
후면 : 견갑극에서 시작된다. (어깨 관절 신전 + 어깨 관절 외회전 + 수평 외전)
전면과 후면은 서로 정확히 반대되는 일을 수행한다.
삼각근은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상완골이 날개뼈에서 탈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인간의 삼각근 평균 질량은 대략 191.9g.
② 처치 고려 사항
삼각근은 팔이나 어깨를 사용할 때 항시 사용되는 근육 중 하나이다. 특히 키보드, 스마트폰 사용 등 몸의 앞에서 팔을 구부리고 + 벌리는 형태의 움직임은 삼각근을 과사용하게 만든다.
전면 삼각근은 어깨 전면, 측면 삼각근은 어깨 측면, 후면 삼각근은 회전근개 경직과 착각하기 쉬운 위치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전반적으로 삼각근이 경직되면 삼각근의 정지점(상완골 삼각근 조면)에 통증을 유발하고 힘줄염 또한 정지점에 많이 생긴다.
삼각근은 웬만하면 완전 파열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극상근 건염에 대한 2차적인 반응으로 견봉 아래 혹은 삼각근 아래 활액낭염이 생길 수 있다. 어깨 탈구나 상완골 주변 외과 수술, 혹은 목 뼈 골절 시 삼각근을 통제하는 액와신경(겨드랑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 신경 손상 시 90도 외전은 가능하나 삼각근이 전혀 수축하지 않고 시험자가 저항을 주면 버티기 어렵다.
삼각근도 최표층 근육이라 촉진이 매우 쉽다.
위 그림처럼 쇄골의 1/3지점, 견봉, 견갑골 극은 돌출되어 있어 촉진하기 매우 쉽다. 그다음 상완골 외측을 따라간다. 환자에게 어깨 외전을 지시하면 삼각근이 수축되는데 쭉 따라가 정지점을 찾는다.
전면 삼각근 문제시 좌측 Back rub test가 안되고 억지로 하면 통증 유발
후면 삼각근 문제시 우측 Mouth wrap around test가 안되고 억지로 하면 통증 유발
견봉을 기준으로 아래 5~7cm 부근은 신경이 위치해 있어 절개 수술을 할 때 조심해야 한다. 주사를 놓을 때는 삼각근의 정중앙에 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너무 위쪽에 놓으면 어깨 관절낭 내에 주사하게 된다.
전거근의 약화는 안정 시 상완골을 과도하게 내전시켜 (= 날개뼈가 하방 회전되어) 삼각근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 (어깨 측면이 절벽처럼 생김) 신경 단절에 의한 삼각근 위축일 수 있지만 전자가 훨씬 가능성이 높으니까..
삼각근은 그렇게 까다로울 게 없어서 내용이 엄청 방대하지는 않았다. (개꿀)
끄읏
*참고문헌
-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 해부학
- 그림으로 보는 근육학(MPS)
- 기능 해부학 (Joseph E. Muscolino)
- 내 개인적인 사견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
근육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퇴직근 (넙다리곧은근, Rectus Femoris)에 대한 모든 것 (0) | 2021.07.15 |
---|---|
상완삼두근(위팔세갈래근, Triceps Brachii M.) :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1.07.12 |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에 대한 고찰 (0) | 2021.07.02 |
극상근 파열(손상)이란? (1) | 2021.05.16 |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 분석 ㄱㄱ (0) | 2021.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