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해부학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에 대한 고찰

by 「근육 연구소」 2021. 7. 2.
반응형

1.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의 생김새와 주의사항

상완이두근은 말 그대로 머리가 두 개, 장두(long head)와 단두(short head)로 나뉜다. 근육의 시작점(기시점)은 각각 상완와관절상결절(장두), 견갑골 오훼돌기(단두)이며 정지점은 요골조면, 시작은 두 갈래로 시작되지만 정지점은 하나에서 만난다.

다만 학자에 따라 상완이두근의 널 힘줄(bicipital aponeurosis)도 정지점으로 보기도 한다.

좌측 사진을 보면 "bicipital groove, 이두근구"라고 상완이두근 장두의 힘줄이 지나가는 고랑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고랑과 힘줄을 우측 그림과 같이 "transverse humeral ligament, 상완횡인대"가 덮고 있어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동안 힘줄이 여기저기 나돌아다니지 못하게 꽉 잡아주고 있다.

보통 "이두건염"이라 하면 저기 이두근구 고랑과 상완횡인대가 위치한 쪽 힘줄에 염증이 생겨 어깨 전면에 통증이나 가동범위 제한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두근 장두 힘줄은 회전근개 중 극상근과 견갑하근의 양 힘 줄 사이에 위치해 있는데 견갑하근이나 극상근이 부분 혹은 완전 파열되는 부상을 겪을 때 이두근 장두 힘줄도 고랑에서 함께 빠져버리기도 한다.

우측 사진은 이두근 파열을 보여주는데, 상완이두근은 방추형 근육으로써 한 쪽 고정(힘줄)이 파열되면 뽀빠이처럼 이두근이 볼록하게 튀어나온다. (참고로 근육, 힘줄 등의 연부조직이 파열되면 주변 혈관도 같이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쏟아져나와 멍이 든것처럼 피부가 변한다.)

 

상완이두근과 힘줄을 촉진하기 위해서 팔꿈치 관절 90도 굴곡 후 한 손으로는 환자의 손목을 잡아 등척성 수축을 유도하고, 수축된 이두근을 따라간다. 이두근구 고랑까지 찾는다. 그 다음 어깨 관절을 내/외회전 반복하면서 이두근구 고랑과 힘줄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다.

2. 상완이두근의 쓰임새와 주의사항

상완이두근은 단순히 팔꿈치 관절의 굴곡 뿐만 아니라 2 joint muscle 로써 (지나는 관절이 두개:어깨+팔꿈치:임) 어깨 관절의 굴곡도 책임지고 전완의 회외(뒤침, supination)도 일으킨다. (그래서 후술한 스페셜 테스트에서 이 점들을 이용할 것임)

그래서 만약 상완이두근 강화를 위해 이두 컬 biceps curl 운동을 한다면 전완을 회외시키면서, 즉 어깨 관절을 외회전 하면서 실시해야 상완이두근을 더 강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구불구불한 이지바는 더 효과적으로 손목과 어깨를 외회전 시키기 위해 그렇게 생겨먹은 것이다.

상완이두근의 단두는 서론에서 말하였듯 오훼돌기에 부착되어 있는데, 오훼돌기에는 이두근 단두 뿐만 아니라 소흉근, 오훼완근도 함께 부착되어 있다. 날개뼈(오훼돌기)가 고정된 상태로 이 근육들이 수축한다면 어깨 관절이 굴곡되어 올라올 것이다. 반대로 하부 승모근의 근력이 약해져 날개뼈(오훼돌기)가 딸려간다면 날개뼈가 전방경사되면서 어깨가 말리는 형태가 될 것이다.

 

3. 상완이두근 관련 부상

상완이두근하면 역시 힘줄염(건염)이 제일 먼저 떠오를 것이다. 서론에서 언급하였듯 이두근구 고랑과 상완횡인대가 위치한 부분에서 힘줄염이 제일 잘 나타난다. 너무 무거운 하중이 상완이두근에 실리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드는 행위(overhead)를 고반복하면 건염이 생길 수 있다. (테니스, 배드민턴과 같은 라켓 스포츠나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수영, 무거운 무게를 드는 웨이트 트레이닝 등)

"이두건염이란?"에서 이야기 나누었듯 이두건염이 발생하였다면 주변 어깨 조직도 함께 살펴야 한다. 보통 이두건염은 주변 어깨 조직의 손상과 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어깨 관절의 충돌증후군, 회전근개 손상(or 파열), 관절순 파열, 어깨 관절염 등을 함께 살핀다. 내 생각엔 익상견과 상완골두 전방활주도 살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완골 머리와 견봉 사이에 있는 연부조직이 팔을 움직일 때마다 반복적이로 끼이고 꼬집히면서 염증이 발생하기 쉽다. 건염이 생기면 어깨 전면부가 아프고 심하면 삼각근 정지점까지 통증을 방사할 수 있다.

SLAP이란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의 약자로 상완이두근 장두 힘줄과 그것이 부착된 관절와순이 동반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SLAP은 맨 우측 그림처럼 시계 모양으로 10시~2시에 해당하는 손상을 보인다.

SLAP이 반복적인 어깨 관절 사용으로 올 수 있는 퇴행성 질환이라면 반카르트(Bankart) 병변은 어깨 전면부 탈구로 인해 생기는 조직의 손상을 말한다.

다시 돌아와서, 팔을 쭉 뻗은 상태로 바닥을 잘못짚으면 상완골 머리가 어깨 관절 소켓 위쪽으로 솟으면서 위쪽 조직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반대로 무거운 리프팅을 반복하면 이두근과 힘줄을 아래방향으로 자꾸 쥐어뜯는 형태가 되어 스트레스 강도가 너무 심하면 조직 손상을 유발한다.

이두근 관련 손상 유무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https://youtu.be/_Cjahul5yuI

전완을 회외시키는 이두근의 움직임을 이용한 '요거슨 테스트'이다. 환자는 팔꿈치 관절을 90도 굴곡하고 손바닥을 회내시킨다. 그 상태에서 시험자는 이두근구 고랑에 손을 대고 전완에 저항을 준다. 환자는 저항을 이겨내며 전완의 회외를 실시한다.

이때 상완이두근 힘줄이 POP! 튕겨져 나오면 상완이두근 힘줄을 잘 부착시켜줘야 하는 상완횡인대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https://youtu.be/gbG_O9Gv8aQ

 

(이 형들 자주 보네..) 다음은 스피드 테스트,

어깨 관절 90도 굴곡, 전완 회외시킨 뒤 (손바닥이 하늘 바라보기) 시험자는 팔을 아래로 누르고 피험자는 스트레스에 저항하며 버틴다. 이때 어깨 전면에 통증을 느낀다면 이두근 힘줄 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4. 건강한 상완이두근을 위한 재활 운동

상세한 재활 운동 방법은 아래 "상완이두근에 대한 고찰" 영상을 참고하면 되겠다.

https://youtu.be/vuk53rXbvuQ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5089

근육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