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재활73 스트렝스 훈련 후 필요한 두 가지 -ing 스트렝스 훈련 후 필요한 두 가지 -ing 고중량 스트렝스 훈련이 끝나고 즉시 실시해야 할 두 가지 리커버리 훈련을 소개하고자 한다. 1. Hanging (매달리기) 벤치프레스를 제외한 중량 훈련들은 대부분 척추에 수직으로 부하를 가한다. (ex 데드리프트 종류, 스쿼트 종류, 밀리터리 프레스) 때문에 척추와 그 추간판에 상당한 압력을 가하고, 다른 관절에도 마찬가지이다. 중량 운동 이후 매달리기를 실시하면 척추 사이사이 추간판의 공간을 재확보할 수 있고 무릎이나 발목 등 관절낭 내의 공간도 정상 확보할 수 있어 부상을 예방하고 다음 워크아웃 때 부대끼는 느낌 없이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20-30sec * 3-5set 2. Rolling (구르기) 중량훈련을 할 때에는 중량에 저항하여 척추를 보호하기.. 2018. 3. 12. 벤트 오버 로우 (Bent Over Row)는 과대평가된 운동인가? 벤트 오버 로우 (Bent Over Row)는 과대평가된 운동인가? Q. 파벨형님, 제가 듣기론 당신은 벤트 오버 로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A. 나의 의견으로는 벤트 오버 로우는 허리를 지나치게 피로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벤트 오버 로우는 충분히 강해지기 위한 만큼의 고중량을 다루기에 적합하지 않은 운동이며, 회복이 가장 느린 인체 부위인 허리에도 부담이 많이 가는 운동이다. 만약 데드리프트 혹은 스쿼트를 고중량으로 하고 있다면 고중량 벤트오버 로우를 하는 것은 치명적인 일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운동을 완벽한 자세로 수행하는 사람을 본적이 없다. 나는 등 훈련에 있어 풀업과 데드리프트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다른 운동을 부가적으로 추가하려 한다면 허리에 .. 2018. 3. 9. 트리거포인트와 자세평가 트리거포인트와 자세평가 이제 트리거포인트(이하 TrP)는 운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즈음은 들어봤을 단어가 되었다. 김찬호 선생님의 글을 인용하자면, “트리거 포인트(trigger toint)라는 개념은 통/증의학의 선구자 트라벨(travell)과 사이먼스(simons) 박사의 책에서 처음 표현된 것으로 이는 담 걸렸을때와 다르게 자발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한계치를 넘어선 근육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근육이 수축된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서 그 부분이 혈액순환이 부족한 허혈상태에 빠지고 혈액순환의 부족은 신경전달물질의 부족으로도 이어져 수축된 근육이 이완될 방법을 잃은 상태를 트리거 포인트라고 말하는데요. 담 걸렸을 때 천천히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었던 근육이지만 이러한 트리거 포인트 상태.. 2018. 3. 8. 라잉 힙 어브덕션인가?박봄다리운동이요 무릎이 아플수도 있나요? Q.새끼발가락을 천장으로 두고 발끝은 몸쪽으로 안당기고 하고있는데 무릎이 살짝 아프더라구요 그거하고 밖에서 산책하는데ㅠㅜ 무릎이 안아프게 안전하게 박봄다리운동하는 팁있나요? 스쿼트 런지는 무릎을 다쳐서요 발끝 몸쪽으로 당기고도 해봤는데 무릎에 힘이 실리더라구요 - A. 장코치(장우현)입니다. - 옆으로 누워서 고관절을 외전 시키는 운동을 하시는 것 같네요. 아마 무릎이 아픈 이유는 엉덩이(중둔근)가 개입되는 대신 TFL과 IT band가 개입하면서 슬개골 외측을 자꾸 잡아당겨 통증을 유발하는 것 같아요. 우선 질문자분에게는 두 가지 문제가 있는데, 1. 라잉 힙 에비덕션 운동은 하체 근육량을 증가시키기에는 매우 미미한 운동이다. 하루 수백 수천번씩 반복하지 않는 이상 운동량이 너무나 적고 운동에 참여하는.. 2018. 3. 5.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