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조들의 지혜/운동손상증후군11

견갑골 익상 증후군 (Scapular Winging Syndrome) 익상이 크게 드러나는, 극단적인 사진이 아닌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사례들의 사진으로 찾아보았다. ​ ① 익상견의 증상 a. 전방에서의 어깨 충돌 b. 활액낭염 c. 건병증 (과사용에 의해 힘줄 혹은 그 주변 조직에 통증이나 조직학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함) d. 회전근개 손상/파열 e. 흉곽 탈출 증후군 ​ 그 외에 120˚ 이상 굴곡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어깨 관절 굴곡/외전 시 위 사진처럼 견갑골의 하각(좌측)이나 견갑골의 척추연(우측)이 붕 뜨게 된다. 특히 굴곡 후 다시 안정 시 자세로 돌아갈 때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 ​ ​ ② 익상견과 신체 정렬 ​ a. 흉추후만 → 견갑골의 전인과 익상이 나타나면서 전거근이 단축되는 경우 ​ b. 견갑골 척추연 익상 → 척추 측만 및 늑골.. 2021. 10. 13.
쳐진 어깨, 날개뼈 하강 증후군 (scapula depression syndrome), 그리고 해결 방법 ① 날개뼈 하방 회전 증후군과의 차이점 ​ 견갑골 하방회전 증후군과 비슷하지만 견갑골을 하방 회전 시키는 근육(견갑거근, 능형근)의 단축 유무가 차이점이 된다. 날개뼈가 하강하면 상부승모근은 마찬가지 길게 늘어진 상태로 긴장하게 된다. (상부 승모근에 지속적인 손상을 주어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한다. 어깨만 으쓱해도 통증은 사라질 수 있음.) ② 날개뼈 하강 증후군의 증상 ​ 날개뼈가 하강 하면 하방회전 증후군과 비슷하게 - 어깨 충돌증후군 - 회전근개 손상/파열 - 상완 아탈구 - AC관절 통증 - 흉곽탈출증후군 (팔저림, 신경통) - 승모근/견갑거근 주면 통증 (어깨 주변) ​ 을 호소하게 된다. ​ ​ ​ ​ ③ 날개뼈의 과도한 하강, 분별법은? '안정시 견갑골의 과도한 하강' 기준은 ​ a. 날개뼈.. 2021. 9. 12.
처진 어깨, 날개뼈 하방회전 증후군 ​ '비정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를 알아야한다. 그래야 비교 기준이 생기기 때문이다. ​ ① 날개뼈의 정상정렬 날개뼈의 척추연은 서로 평행하며 날개뼈는 흉추로부터 약 2-3인치(약 5~7.5cm) 떨어져 있다. 흉추 T2번부터 흉추 T7번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관상면을 측정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우측 그림과 같이 30˚ 가량 뒤굽음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어깨면이라 부름) ​ ​ ​ ​ ② 안정시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 (Scapula Downward Syndrome) 좌측 그림을 살펴보면 ​ 붉은색 A = 견갑골 하각 파란색 B = 견갑골 극근 검정색 C = 견갑극 ​ 이라고 한다. 날개뼈의 과도한 하방회전을 가진 경우 A(견갑골 하각)가 B(견갑골 극근)보다 내측에 위치(척추에 가까워.. 2021.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