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호소 증상
▶ 팔 저림이 나타나 경추 MRI 검사 → 디스크 판정
▶ 도수 치료로 저림 증상 호전되었으나 여전히 목/어깨 경직
▶ 필라테스/PT 합쳐 약 1년가까이 하였으나 목/어깨 경직이 나아지지 않아 그만둠
▶ 오래 서 있거나 업무를 보다보면 우측 무릎에 통증이 나타남
② 평가 결과
▶ 자세 평가시 견갑골의 익상 + 하각 들림
▶ 견갑골 거상 및 전방경사로 목과 어깨 주변부 경직이 심함
▶ 약간의 Sway back
▶ 대퇴근막장근 테스트 → 무릎 통증 발생, 양성
▶ 대퇴직근 테스트 → 무릎 통증 발생, 양성
③ 처치 방법
▶ 쉬운 무릎부터.. 대퇴직근/근막장근 수기 근막이완, 통증 너무 심해서 충격받으셨으나 어쩔 수 없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1년 내내 풀어도 안풀림. → 근막이완시에는 나를 원망하셨으나 근막이완 끝나니 무릎 새것처럼 변함
▶ 네 발 자세에서 후방 기울이기를 실시하는데 견갑골의 리듬과 궤적을 재설정하고 견갑거근과 능형근, 전거근이 적절히 신장/수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날개뼈가 거상되지 않고 적절히 상방회전+전인할 수 있도록 지시, 완전한 스트레칭 자세에서 상부 승모근/견갑거근 눌러봐도 말랑말랑 → 반복 연습 지시
▶ 하부 승모근 강화를 위한 W/Y raise 실시 → 여전히 견갑거근/능형근이 우세하여 운동 강도/난이도 낮춤 → 반복적인 숙달 연습 필요
④ 논의 ★
"어깨 관절" 이라 함은 (1)흉골과 쇄골의 관절, (2)쇄골과 견봉의 관절, (3)견갑골과 흉곽의 관절, (4)견갑골과 상완골의 관절 총 4가지 관절의 복합체를 말한다.
해당 고객은 특히 견갑골과 흉곽이 붙어있는 가상의 관절, ST관절의 문제가 있었다. ST관절은 해부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가상의 관절로써 관절낭이나 인대와 같은 관절 구조물이 없어 실제 관절로 볼 수 없다. 이 말을 반대로 하면 관절 안정성을 오로지 주변 근육들에 맡겨야 하는데, 정상적인 경우 견갑골 1차 안정근으로 하부 승모근과 전거근을 이용한다. 이들은 날개뼈 하각 주변을 안정화시켜 아래에서 위쪽으로 떠받들듯 어깨를 지지해준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좌식 생활, 운동 부족, 잘못된 큐잉 등으로 견갑거근과 능형근을 1차 안정근으로 선택하고, 결과적으로 날개뼈 상각의 지나친 거상이나 익상견 등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머리를 말리거나 양치질을 하더라도 견갑골이 받침대 역할을 하지 못해 회전근개와 삼각근에 큰 부담을 주게되고, 결과적으로 팔이 빨리 피로해져 팔을 내려야한다.
또한 팔을 움직일 때 흉곽벽이 아닌 경추를 지지대로 삼기 때문에 목이 자꾸 굳고 경직되며 나아가 경추 척추 돌기를 자꾸 잡아당겨 디스크 탈출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거근과 하부 승모근의 인지/강화를 통해 1차 안정근의 역할을 다시 되찾아야 한다.
무릎의 경우 근막장근과 대퇴직근이 매우 굳어 슬개골을 위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계속 잡아당기고 있었다. 대퇴직근을 압박하자 무릎을 가시로 찌리는 듯한 느낌이 들었고 근막장근을 압박하자 IT band와 함께 비골근, 나아가 중족골까지 통증이 번진다고 하셨다. 근육을 처치하는데 힘줄까지 반응이 온다는 것은 '근육의 경직 끝판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무자비하게 풀어냈고 일어서서 확인해보니 완전 새 것처럼 무릎이 가벼워졌다고 하셨다.
문제는 "그들이 왜 경직되었는가"이다. 고관절 굴곡이 일어날 때 1차로 장요근을 사용하고 대퇴직근과 봉공근, 내전근과 대퇴직근 등은 상황에 맞춰 보조로 사용된다. 헌데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있게 되면 장요근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로 굳어 고관절 굴곡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신체에서는 만만한 근막장근이나 대퇴직근을 이용하여 고관절을 굴곡한다.
헌데 장요근에 의한 고관절 굴곡이 아닌 이상 고관절 내 관절중심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대둔근을 못쓰게 되고, 이는 또 햄스트링이 고관절 신전근 우세근으로 선택되어져 고관절 축을 자꾸 앞으로 밀어낸다. (대퇴골두 전방 활주) 결국 자세 평가에서 나타난 sway back은 '장요근을 제대로 쓰지못한다'라는 스노우볼이 구르고 굴러 나타난 결과라고도 볼 수 있겠다.
골반의 중립을 교육하고, 골반 중립 상태에서 장요근을 깔끔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쳐드렸다.
약 2주간 숙제를 제대로 실시한다면 어깨 경직과 무릎 통증이 상당히 완화 혹은 해결될 것이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케이스 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님, 반복적인 무릎 내측 통증, 어깨 통증, 팔꿈치 통증 (0) | 2022.09.17 |
---|---|
남**님, 스쿼트 바벨 회전 (경과 보고서) (0) | 2022.09.10 |
이**님, 익상견 및 웨이트 트레이닝ㅇ 자극 X (0) | 2022.08.16 |
황**님, 회전근개 손상 및 스쿼트 견착 통증, 등 자극 안와요. (0) | 2022.08.12 |
황**님, 어깨 통증 및 회전근개 손상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