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케이스 보고서

황**님, 어깨 통증 및 회전근개 손상

by 「근육 연구소」 2022. 8. 9.
반응형

① 방문 이유

군대에서 체력 훈련 등으로 어깨를 다친 뒤 병원을 방문해 MRI 검사 받음 → 회전근개 손상 및 염증 심하여 휴식 처방, 이후 어깨가 성할 날이 없고 계속 불편하며 운동은 고사하고 가방을 메는 것도 많이 불편함.

혼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이것저것 시도하고, 마사지하고 하면서 상태가 많이 호전되었으나 여전히 불편감이 남아 있어 완전히 해결을 해보고자 방문하게 되었음

② 테스트

이두건염 테스트 양성, 극상건염 테스트 양성, 익상견 가지고 있으며 안정시에 이미 상완골 전방 활주를 가지고 계시다. 전거근 약화에 의한 익상과 함께 견갑골이 전방으로 경사져 이두근/극상근 힘줄이 손상되기 쉬운 어깨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거근 테스트 시 우측만 양성인데, 푸시업이나 플랭크 자세를 취하면 왼쪽도 익상이 나타난다. 견갑골이 전방경사지면서 상부승모근이 어깨를 파도처럼 덮치고, 그로 인해 경추심부굴근이 약해져 무턱이 된다.

③ 처치

일단 단순히 트리거포인트만 해소하고 정도가 얼마나 줄어드는지 테스트해보았다. 상지선을 전부 풀어내고 극상근과 회전근개도 일일히 다 풀어내었다. 그리고 다시 테스트를 해보니 통증이 50%정도 경감되었다.

100% 경감하기 위해 자세 교정에 들어갔다.

황**님은 위 그림처럼 인체의 톱니바퀴가 옳지못한 방향으로 굴러가 있었고, 때문에 크게는 어깨, 작게는 발목까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국소부위를 처치한 것이 아닌 위 톱니바퀴를 재정렬할 수 있는 방법들을 추천하였다. 가장 먼저 견갑골과 쇄골의 위치를 바로잡자 경추와 흉추가 올바르게 무게 중심선으로 들어왔다. 다만 그 보상으로 요추의 과전만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골반을 중립으로 끌어와 상쇄시켰다. 그러자 어깨를 덮쳤던 상부승모근은 내려가고, 전방으로 튀어나간 고개는 들어왔으며, 복압이 자연스럽게 생기면서 흉식호흡이 아닌 복식호흡이 가능해졌다.

단순히 정렬만 바꾸고 편하게 호흡했는데 그러자마자 배가 꽉 차는 호흡이 이루어지니 상당히 신기해하셨고 나도 기분이 좋았다.

이제 정렬을 바꾸고 어깨를 테스트했더니 불쾌한 통증은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대부분'이었다. 마지막 퍼즐은 전거근이었는데, 팔이 굴곡/외전될 때 전거근이 제기능을 하지못해 견갑골을 받침대로써 잘 쓰지 못했고 그 결과로 상완이두근 힘줄이나 외회전근을 엄청나게 동원해야 했다. → 이것은 어깨를 쉽게 피로하게 만들고 회전근개 손상을 유발한다.

전거근은 훈련되지 않은 사람이 꺼내쓰기 쉽지 않기 때문에 따로 전거근을 수축/이완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그 다음 다시 정렬 유지 + 전거근 활성화 한 다음 팔을 들어올리자 매우 편안함을 느끼셨다.

이제 위 상태를 영구적으로 만들기 위한 숙제를 드렸다.

  • 벽에서 올바른 정렬 유지
  • 그대로 자리에 엎드려 플랭크 상태로 정렬 유지 + 전거근 의도적으로 활성화하기
  • 하부 승모근 강화를 위한 Y-raise 큐잉
  • 상복부가 아닌 하복부를 끌어다 쓰는 습관을 들이기 위한 리버스 크런치

2주간 숙제를 실시하고 어깨 상태에 관해 피드백을 받기로 하였다.

끝!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개인레슨/세미나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