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운동 역학

[운동 역학] 2/12. 운동의 기술

by 「근육 연구소」 2021. 12. 29.
반응형

'의사소통'이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말이나 글로써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서로 약속된 '용어'가 중요합니다. 때문에 모든 학문에 있어 용어를 배운다는 것은 학문의 절반을 배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① 자세

a.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

발은 11자로 곧게 붙이고 손바닥은 정면을 바라본 상태로 몸을 곧게 펴고 선 자세.

b. 기본 자세(fundamental position)

특정 동작에 앞선 준비자세로 발은 11자가 아닌 자연스럽게 벌어진 八자 형태이며 손바닥은 허벅지에 가볍게 붙입니다.

c. 누운 자세(supine position)

등과 손바닥이 지면에 닿도록 누운 자세로써 전신의 뼈대와 근육이 편하게 이완되는 자세입니다. 양와위/배와위 라고도 합니다.

d.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

누운 자세를 180˚ 뒤집은 자세에서 호흡을 위해 고개를 옆으로 돌린 상태입니다. 복와위라고도 하며 척추 건강에는 좋지 못한 자세입니다.

② 인체의 면

a. 전두면(frontal plane)

신체를 앞/뒤로 자르는 면입니다. 관상면(coronal plane)이라고도 합니다. 전두면 상에서는 관절의 내전/외전이 일어납니다.

b. 정중면(sagittal plane)

신체를 좌/우를 자르는 면입니다. 시상면이라고도 합니다. 정중면 상에서는 관절의 굴곡/신전이 일어납니다.

c. 횡단면(transverse plane)

신체를 위/아래로 자르는 면입니다. 가로면/수평면이라고도 합니다. 수평면에서는 관절의 회전 및 수평 내/외전이 일어납니다.

위 면들 중에서도 인체를 정확히 반으로 나누는, 정중앙에 위치한 면들은 앞에 '정중'을 붙여 정중좌우면, 정중전후면, 정중가로면이라고 부릅니다. 인체가 일어서있던, 누워있던, 엎드려있던 간에 인체의 면은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설명됩니다.

③ 방향

a. 내외 (medial&lateral)

안쪽과 바깥쪽을 이야기합니다. 정수리에서 발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정중선(midline)'이라하는데 정중선에 보다 가까운 쪽을 내측(안쪽), 먼 쪽을 외측(바깥쪽)이라고 이야기합니다.

b. 표심 (superficial&deep)

피부에 가까운 쪽을 표(겉)라 하고, 피부에서 먼 쪽을 심(속,안)이라고 합니다. 뼈는 근육보다 심(안)에 있습니다.

c. 복측과 배측 (ventral&dorsla)

배쪽과 등쪽입니다.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배가 있는 곳을 복측, 등이 있는 쪽을 배측이라 합니다. `등 배背를 써서 등을 '배'라고 표현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d. 장측과 저측 (plantar&dorsi)

손바닥 쪽을 장측, 발바닥 쪽을 저측이라고 합니다. 그 반대쪽을 전부 배측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발목이 발바닥 쪽으로 굽혀지는 것을 저측 굴곡이라 하고 그 반대가 되는 것을 배측굴곡이라 합니다.

e. 근위와 원위 (proximal&distal)

몸쪽과 먼쪽이라고도 합니다. 체간을 기준으로 더 가까운 곳을 근위(몸쪽), 더 먼 곳을 원위(먼쪽)라고 합니다. 손목과 팔꿈치 관절을 비교하면 팔꿈치 관절이 체간에 더 가까우므로 팔꿈치가 근위, 손목이 원위가 됩니다. 체간 내에서는 골반이 근위, 가슴 우리가 원위라고 약속합니다.

f. 시작점과 부착점 (origin&insertion)

이는 곳과 닿는 곳이라고도 부릅니다. 위에서 살펴본 '근위'뼈에 붙어 있는 지점을 해당 근육의 시작점(이는 곳)이라 부르고 원위에 있는 부분을 부착점(닿는 곳)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대퇴직근의 시작점은 몸통에 더 가까운 전하장골극이 되고 부착점은 몸통에서 더 먼 경골조면이 됩니다.

④ 동작 용어

a. 굽히기와 펴기 (굴곡/신전, flexion/extension)

전후면 상에서 관절각도가 줄어드는 것을 굴곡, 커지는 것을 신전이라고 합니다. 해부학적 자세에서 팔의 각도는 0이 아닌 180˚이므로 팔이 위로 올라가게 되면 각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때문에 어깨 관절의 굴곡이라고 말합니다. 목이나 발목, 손목은 굴곡과 신전을 구분하기가 애매하여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모든 움직임을 '굴곡'이라고 표현합니다. 굴곡 상태에서 원위치로 돌아오는 동작들은 전부 '신전'으로 약속합니다.

예를 들어 발목의 경우 저측굴곡/배측굴곡 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굴곡 후 해부학적 자세로 돌아오는 것을 신전이라 합니다.

b. 벌리기와 모으기 (외전/내전, abduction/adduction)

해부학적 자세, 관상면 상에서 정중선(midline)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동작을 외전, 가까워 지는 동작을 내전이라 합니다. 팔을 90˚ 굴곡한 상태에서도 내/외전이 가능한데, 움직임이 일어나는 면이 관상면이 아닌 수평면이기 때문에 '수평내전/수평외전'이라 칭합니다.

c. 외측회전과 내측회전 (외회전/내회전, external rotation&internal rotation)

해부학적 자세에서 엄지손가락이 내측을 향하게 만들면 내회전, 외측으로 가게 만들면 외회전이 됩니다. 어깨 관절이 완전히 굴곡된 상태(만세 자세)에서는 내/외회전이 반대가 되지만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헷갈리면 안됩니다. 목 관절의 경우 내측/외측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험자/시험자 기준으로 좌/우 방향 혹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표현합니다.

d. 엎치기와 뒤치기 (엎침/뒤침, pronation&supination)

서론에서 하늘을 보고 누운 자세를 supine, 바닥을 보고 엎드린 자세를 prone이라 하였습니다. 손바닥이 하늘을 보면 뒤침이 되고supination, 바닥을 보면 엎침 pronation이 됩니다.

e. 외번과 내번 (eversion&inversion)

발목에서만 일어나는 움직임으로 발날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내번, 발날이 내려가는 동작을 외번이라 합니다. 발이 내번되면 무릎이 X다리처럼 모이는데, 때문에 내번슬이라 말합니다. (반대의 경우 외번슬) 일본식 발음에 의해 내반슬/외반슬로 불립니다.

⑤ 관절 용어

관절은 2개 이상의 뼈가 서로 만나 어떤 형태로든 결합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a. 부동관절(synarthroses)

두개골이나 골반처럼 나뉘어 있던 뼈조각이 섬유 연결 조직에 의해 단단히 봉합되어 움직임이 제한된 관절을 말합니다.

b. 반관절(amphiarthroses)

척추 뼈와 척추 뼈 사이의 관절처럼 아주 약간의 움직임만 허용된 관절을 반관절이라고 합니다.

c. 가동관절(diarthroses)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관절의 운동 범위가 큰 관절을 말합니다.

d. 회전관절(pivot joint)

멧돌처럼 생긴 관절을 말합니다. C1,C2 목뼈가 이루는 관절이 그 예입니다.

e. 절구관절(spheroid joint)

관절의 한 면은 공 모양, 한 면은 절구(소켓)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어깨 관절과 고관절이 그 예입니다.

f. 경첩관절(hinge joint)

여닫이 문의 경첩처럼 한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입니다. 팔꿈치나 무릎, 손가락 관절처럼 굴곡/신전만 가능한 관절을 말합니다.

g. 타원관절(ellipsoidal joint)

관절의 한 면은 타원형으로 볼록하고, 다른 면은 반대로 움푹 패여 있어 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을 말합니다. 손목관절이나 환추후두관절이 그 예입니다.

g. 안장관절(saddle joint)

관절면이 말 안장 같이 생겨 뼈의 전/후, 좌/우 이동이 가능한 관절입니다. 엄지손가락의 손목손허리뼈와 큰마름뼈가 이루는 관절이 유일한 안장관절입니다. 네 발 동물과 달리 엄지손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i. 평면관절(plane joint)

두 관절면이 거의 평면이고 관절면의 크기도 작아 약간의 움직임만이 허용된 관절입니다. 척추 사이 관절과 손목뼈사이관절이 그 예입니다.

움직임이 가능한 면의 개수에 따라 관절의 '자유도'가 달라집니다. 움직임이 가능한 면이 하나인 경첩관절은 자유도가 1, 안장관절은 움직임 면이 2개여서 자유도가 2, 절구관절은 3차원 움직임이 가능해 자유도가 3입니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교육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