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운동 역학

어깨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상들

by 「근육 연구소」 2022. 2. 8.
반응형

1. 어깨불안정증후군

 

지난 시간 『어깨 복합체에 대한 이해』를 읽고 오신 분이라면 어깨 관절의 특징을 잘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어깨 관절은 가동성이 크고 자유로운 대신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관절로써 그 만큼 많은 부상 위험을 안고 있는 관절입니다.

골프의 티-샷처럼 상완골 머리(골프공) 크기에 비해 견갑골 관절와(티)는 매우 작습니다. (약 1/3)

팔(어깨)을 움직일 때 상완골 머리가 제자리에 유지되지 못하면 우리는 어깨의 불안정성/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요, 팔을 뻗은 상태로 크게 넘어지거나 교통 사고와 같은 급성 사고로 인해 어깨 아탈구/탈구가 되는 경우 어깨 관절 주변 인대/힘줄/관절낭과 같은 조직들과 함께 고유수용감각기들도 손상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급성 사고보다도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한 체형 변화나 근육 불균형으로 인한 운동 조절 능력의 변화가 어깨 관련 병변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불안정성은 어깨 관절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가장 발생하기가 쉽습니다. 대흉근/상완이두근 단두/오훼완근/전면 삼각근/견갑하근은 어깨 관절 앞쪽을 지지하고 안정성을 만들어내는데, 해당 근육들의 약화가 있을 경우 상완골 머리가 원래 있어야 하는 위치보다 더 앞쪽에 위치하게 되어 팔을 움직이거나 외부 스트레스가 있을 때 (= 바닥을 짚고 일어나거나 두꺼운 문을 열 때 등) 어깨 통증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결과적으로 극상근 건염이나 관절와순 손상, 이두근 힘줄염과 같은 2차적인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어깨 충돌 증후군

어깨 충돌 증후군은 어깨 관련 병변 중 가장 유명한 병변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차적인 원인으로는 견봉 아래 공간이 좁아져 사이에 있는 조직이(극상근 힘줄, 견봉하점액낭, 이두근 장두) 반복적으로 끼이면서 자극을 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부분 파열 혹은 손상 → 염증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면, 어깨 관절에서 움직임이 일어날 때 잘못된 체형 변화 혹은 부상/과사용으로 인한 고유수용감각의 부재로 근육들의 협응과 티이밍이 엇갈리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 상완골 머리를 제자리에 두지 못하고 위로 딸려가도록 만듭니다.

우측에 보이는 초록색 부분은 '견봉하궁' 즉 견봉과 오훼견봉인대가 이루는 지붕을 말합니다. 위 공간 아래에는 극상근과 이두근이 위치해 있는데, 이 공간이 좁아짐으로써 해당 조직들의 끼임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팔을 들어올릴 때 상완골의 내회전이 일어난다던지(견갑골 전인의 부족을 보상함), 하부승모근이나 전거근 약화로 인해 날개뼈의 충분한 상방회전+후방 경사가 일어나지 않는 다던지, 회전근개가 약화/유착되어 상완골 머리를 아래로 끌어내려주지 못한다면 견봉 아래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충돌이 일어나고 맙니다.

 

3. 이두근 건증 및 건염

이두근 건증은 힘줄이 과사용되어 콜라겐화가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힘줄이 퉁퉁 불고 두꺼워지는 것을 말합니다. (힘줄이 두꺼워진다는 것은 약화된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이두근 건염은 반복적인 외상으로 인해 이두근 힘줄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고, 이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이두근 관련 병변은 이두근 그 자체에 대한 문제보다는 잘못된 자세와 그로 인한 신체 역학 변화가 주된 원인이 됩니다. 가령 소흉근의 단축과 하부 승모근의 약화로 인해 안정시에도 날개뼈가 전방으로 기울었다던지(말린 어깨, Rounded shoulder) 상완골 머리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팔을 움직일 경우 상완골 전면에서 이두근 힘줄의 마찰이 일어납니다.

안정시 자세가 불량하거나 어깨 주변 근육들의 협응과 타이밍이 떨어지는 경우 딥스나 벤치프레스, 이두컬과 같은 격렬한 웨이트 트레이닝 뿐만 아니라 어깨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동작이라도 이두근 힘줄에 손상과 과사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두근 힘줄에 미세한 손상이 반복되면 어깨 전면에서의 안정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4. 흉곽출구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은 목에 위치한 사각근이나 쇄골 혹은 소흉근 아래를 지나는 상완 신경총이 압박되어 팔 전체 혹은 네 번째-다섯 번째 손가락이 저리고 아린 통증을 보입니다.

흉곽탈출증후군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호흡주동근(늑간근/복횡근) 약화 및 호흡보조근(소흉근/상부승모근/흉쇄유돌근/사각근 등) 과사용

▶ Upper Crossed Syndrome (거북목)

▶ 오랜 좌식 생활 (컴퓨터, 운전, 공부, 독서 등)

어깨 관절은 복합체이므로 결국 원인의 종류를 떠나 날개뼈의 위치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AC관절을 통해 쇄골의 위치 또한 변화하게 되며, 그 결과로써 신경압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결국 상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부상들을 살펴보면, 표면적인 원인은 조직의 손상이나 염증, 과사용 등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올바르지 못한 체형과 근육의 수축 패턴/타이밍의 변화가 되겠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어깨 환자들이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접근보다는 표면적인 염증이나 손상을 해결하기 위한 약물 치료, 주사 치료 등에 집중하는 현실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신체 조직과 역학을 다루는 전문가들(피트니스 전문가, 물리치료사, 재활의학과 전문의 등)은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그것을 적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단계별 Progression을 고민해야할 것입니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문의 : https://blog.naver.com/stinvvv/222461259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