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m, 1kg, 1s = 1미터, 1키로그람, 1초
의 기준은 무엇인가?
「파리, 국제도량형국」에 보관되어 있는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을 1kg, 미티원기의 길이를 1m, 1평균 태양일을 24X60X60초로 정했으며 우리나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도 그 복사본이 보관되어 있다.
벡터와 스칼라
벡터 → 방향과 크기가 존재
스칼라 → 방향은 없고 크기만 있음 (ex 돈, 숫자, 에너지 등 크기의 편차만 존재)

▶ 두꺼운 점은 작용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 화살표는 벡터의 방향을 나타낸다.
▶ 화살표 길이는 벡터 크기에 비례한다.
▶ 벡터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는 화살표 중간에,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는 끝에 적는다.
한 사람이 하던 일을 두 사람이 한다고 해서 정확히 2배의 힘을 내는 것이 아니며 만약 두 사람이 서로 같은 힘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쓴다고 하면 일의 양은 '0'이 된다. 때문에 벡터의 경우 '더한다 (X)'는 표현이 아닌 '합성한다 (O)'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다. 그 결과물을 '합성벡터 (Result) R'라고 한다.


0으로부터 시작되는 A와 B 벡터가 있다고 하였을 때, 그 합을 계산하려면 가상의 평행사변형을 그려 C를 도출해낼 수 있다. 고로 C = R 합성벡터가 된다.

만약 작용점이 다르면 평행이동시켜서 작용점을 일치시켜준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출강 문의 : https://blog.naver.com/stinvvv/222461259021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운동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상들 (0) | 2022.02.08 |
---|---|
교정/재활 운동 전략 (0) | 2022.01.24 |
로컬 근육 시스템 VS 글로벌 근육 시스템 (0) | 2022.01.19 |
[운동 역학] 2/12. 운동의 기술 (0) | 2021.12.29 |
1/12. 운동 역학의 개요 (0) | 202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