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봄, 정부의 집합 제한 조치로 인해 우리 대다수는 집에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많아졌습니다. 우리는 가능한한 집에 머물러야 하며 정말 필요한 경우에만 출근을 할 수 있고 수 많은 체육관(센터)은 문을 닫았습니다.
그 결과로 우리는 우리의 거실과 침실을 매트와 덤벨 등을 이용해 홈 짐을 꾸리게 되었죠. E-Commerce Times에 의하면 2019년 같은 시기와 비교하여 덤벨의 판매율이 1,980% 상승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이라는 혼란속에서도 차츰 방법을 찾고 적응해나갔습니다.
① 걷기
집에서 실시하는 홈 트레이닝이 열풍을 불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근처 공원이나 산기슭에서 걷기와 하이킹도 인기를 끌었습니다. 집합 제한으로 인해 사회적 모임 및 스케줄이 사라진 사람들은 주말에는 공원에서 걷기 운동을 하거나 주변 지역을 걸었습니다.
소셜 플랫폼에서는 2020년 이후 야외 산책 관련 업로드가 약 30% 증가했습니다.
야외에서 걷는 것은 몸에 부담이 적은 신체 활동으로써 답답한 집, 사무실에서 벗어나 정신 건강을 이롭게 하는 행위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② 아이 요가 (Eye Yoga)
집합 제한의 여파로 우리는 조그마한 화면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업무를 볼 때는 '줌'을 이용하여, 여가 시간에는 넷플릭스 등과 같은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했어요. 한편 Central Vision Opticians 에서는 같은 기간 눈의 피로, 두통, 집중력 저하, 눈/목/어깨 통증 등의 증상이 코로나 발병 이후 증가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컴퓨터/전자기기 등의 화면을 보는 시간이 늘어나는 것만으로 시력을 손상시킨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매일 장 시간 모니터를 바라보는 일이 눈을 크게 지치게 한다는 것은 우리 모두 몸으로 알고 있습니다.
눈과 눈 주변을 부드러운 손길로 마사지하세요. 얼굴은 몸 만큼이나 다양하고 많은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좌/우/위/아래를 크게 바라보기도 하고 따듯한 타올로 눈을 감싸 온 마사지를 해주세요. 눈꺼풀에 있는 기름막을 제거하여 안구 건조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③ HIIT
주의 집중 시간, 업무 일정 등이 점차 더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더더욱 간결한 운동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습니다. 그로인해 HIIT 운동은 더욱 주목 받고 있어요. (3-20분 소요)
HIIT는 짧은 시간 여러 가지 운동을 번갈아 실시하면서 휴식 시간을 최소화, 심장과 폐를 최대한 자극하여 신체 대사 능력을 올리고 체지방 연소를 도모하는 운동방식의 하나입니다.
칼로리 소모 측면으로 보았을 때 같은 시간 대비 더 많은 효율을 낼 수 있어 하루가 바쁜 현대인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TABATA 운동과 크로스핏 WOD 등이 있습니다.
④ 온라인 피트니스
대부분의 체육관이 다시 문을 열었지만 여전히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곳들도 있습니다. 온라인 수업은 직접적인 대면이 없고 거리적/시간적/공간적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튜브와 같은 오픈 플랫폼에서도 요가, 웨이트 트레이닝, HIIT 등 본인의 목적에 부합하는 여러가지 영상들을 쉽게 찾고 따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2차 서비스 생산과 소비를 이끌었어요. 코로나 발병과 함께 형성된 이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은 앞으로 우리의 트레이닝 패턴을 좀 더 개인화, 단순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끗-
장근연 투네이션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5089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근육 연구소 자가발전소 > 오늘의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두근 건염이란? (0) | 2021.06.26 |
---|---|
회전근개 손상(파열)이란? (0) | 2021.06.13 |
요가 지도자가 말하는 전거근 (Serratus anterior) (발번역 주의) (0) | 2021.05.11 |
2021년 5월 첫주차 인기 스포츠&사이언스 아티클 (번역) (0) | 2021.05.07 |
이두근 힘줄 손상 (이두건염) (0) | 2020.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