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지식in

[답글] 턱걸이바 모양 질문드립니다

by 「근육 연구소」 2021. 2. 19.
반응형

사진처럼 턱걸이바에 ㅅ자와 ㅡ자가 있습니다

보통 맨몸훈련하시는분들은 머슬업이나 레버등의 이유로 일자바를 선호 하시기도하지만기 그거 말고도 일자바가 자극이 좋다고 얘기를 합니다

ㅅ자 바는 인체공학적?으로 나온 바라고 얘기를하고 또 누구는 ㅅ자 바가 좋다고하는데

이런 개인적인 느낌에 따른 선호도 말고

1. 신체역학적으로 어떤 차이와 장점이 있을까요?

추가로 영상으로 알려주셔서 다리를 뒤로꼬고 코어를 안잡는 풀업은 지양하고 코어를 잡고 바를 내리는 풀업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2. 코어를 극대화 시키는 엘싯풀업은 코어를 많이 개입한다는 장점 말고 일반적으로 다리를 내리고 하는 풀업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ㅎㅎ

① 신체역학적으로 어떤 차이와 장점이 있을까요?

우선 당기기 운동 시 어깨 관절의 내회전을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넓은 그립의 경우 매달렸을 때 평행바에 비해 어깨 관절이 약간의 외회전이 되게 됩니다. 그럼 이것을 반대로 말하면 "더 많은 내회전이 가능"한 것이지요. 결국 턱걸이 시 더 많은 가동범위를 주지 않나 생각됩니다.

좁은 그립을 잡을 때는 보통 언더그립을 사용하는데 (등 중앙=승모근/능형근을 채우기 위해) 언더그립자체가 어깨 관절의 외회전을 의미합니다. 그럼 마찬가지 내회전을 더 많이 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니 더 큰 가동범위 + 자극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다니는 헬스장도 평행바가 하.나.도 없어서.. ㅜㅜ 스미스 머신에서 레버 연습을 하는데 단순 보조 운동으로 턱걸이할 때는 저렇게 변형된 그립이 훨씬 자극이 좋았습니다. ㅎㅎ

아 그리고 해당 그립들을 잡으면 어깨가 무의식적으로 외회전되면서 평행방에 비해 어깨의 안정감이 생기는 듯 합니다. (외회전근의 강제적이고 지속적인 수축 유도 ▶ 어깨 안정성)

② 코어를 극대화 시키는 엘싯풀업은 코어를 많이 개입한다는 장점 말고 일반적으로 다리를 내리고 하는 풀업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주 좋은 질문인데요, L-sit 풀업은 우선 신체 무게 중심을 무너 뜨립니다. 즉 중량 턱걸이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몸이 늘어진 채로 매달렸을 때는 중력선과 무게중심이 일치하기 때문에 중력에 저항하여 몸을 끌어 올리는 것이 어렵지 않은(?) 반면 다리를 앞으로 내지르면 무게 중심 축이 좀 더 앞으로 이동하기에 훨씬 더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고관절이 굴곡되어 배근막이 수축되고, 반대로 배근막이 수축되면 뒤 흉요근막은 늘어납니다. 흉요근막 뿐 아니라 전굴 상태이니 뒤쪽 후방사슬에 해당하는 근육들 (비복근▶햄스트링▶둔근▶척추신근▶광배근/승모근)이 전부 스트레치 됩니다. 그 상태에서 턱걸이를 실시하게 되면 훨-씬 더 강한 등 수축을 느낄 수가 있는 것이지요. (L-sit 풀업은 활 시위 고무줄을 더 강하게 잡아당긴 상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관절 굴근이 강해집니다. ㅎㅎ(대퇴직근/장요근)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0^

장근연 투네이션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5089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