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
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3/3
체코의 물리치료사 Karel Lewit 형님은 “통증 부위를 치료하는 사람은 환자를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잘 모르는 사람이다” 라고 하셨다.
(엄청난 분이였다..https://cs.wikipedia.org/wiki/Karel_Lewit)
카렐 루이트 형님과 그의 동료였던 얀다형님은 통증을 호소하는 지점으로부터 벗어난 곳에서 통증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근육은 관절 사이에 부하를 분산시키고 신체 말단(팔/다리)의 움직임을 위해 근위부(체간/몸통)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ex)몸통근육군은 상체 혹은 하체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전에 활성화된다.(Hodges and Richardson 1997a/b) 때문에 어깨에 문제가 있더라도 몸통 안정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몸통안정성의 부재는 어깨나 무릎 등 다른 원위부(몸통에서 먼 곳)관절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에서는
1. 관절사슬
2. 근육사슬
3. 신경학적 사슬
이렇게 3가지의 사슬이 어떻게 움직임을 조절하고 유지하는지 이야기한다.
[3. 신경학적 사슬]
1. 보호반사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신경학적 사슬은 기능과 보호를 위한 `반사`를 제공한다.
교차신전반사 / 회피반사 로 나누어지며 감각수용기에 의해 반사가 일어난다. 회피반사는 높은 열과 같이 유해한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사지에서 발생한다. 회피반사는 “굴곡근은 활성되고 신전근은 억제된다.”
ex) 화재현장 혹은 전기감전의 위험이 있을 때 문을 열기 전 손잡이를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아닌 손등으로 체크해야한다. 혹시나 고열 혹은 고압전류가 있을 때 손이 자동적으로 굴곡되어 더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러한 습관이 배어있다.
교차 신전 반사(Crossed Extensor Reflex)의 경우 자극이 한쪽 편 사지에 굴곡 반사를 일으킨 후 약 0.2~0.5초 후에, 반대쪽 사지가 펴지기 시작한다. 이것은 교차 신전 반사라고 불린다. 반대쪽 사지의 신전은 회피가 일어난 사지에서 고통스런 자극을 일으키는 대상으로부터 몸 전체를 밀어뜨릴 수 있게 한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kisungnim)
2. 반사적 안정화 (Reflexive Stabilization)
반사적 안정화는 신경학적 사슬반응의 한 가지 예이다. 근육은 국소적 혹은 포괄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축한다. (Horak, Nashner. 1986.) 안정성 연구에서 흔들림에대한 반응을 원위부 => 근위부로 움직이는 근활성 사슬반응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사슬반응들이 자동적 자세반응들(APRs)이다.
앞쪽으로의 체중이동은 뒤쪽 등쪽 근육이 활성화되고, 뒤쪽으로의 체중이동은 앞 배쪽 근육이 활성화된다.
가장 중요한 감각운동 사슬은
“복횡근 / 횡격막 / 골반기저근 / 다열근”
으로 구성되는 골반사슬이다.
이 4가지 근육들은 몸통 안정성과 힘의 전달을 위해 함께 수축한다. 골반 사슬의 감각운동저하는 단순히 체간(요통, 척추불균형 등)의 문제발생 뿐 아니라 원위부에도 다양한(IT band syndrome, 십자인대손상, 발목염좌 등)문제를 가져오는데,
이것은 우리가 여태까시 살펴보아왔듯,
0. 움직임의 시작과 동시에 복횡근이 수축함.
0. 앞전에서 보았듯, 복횡근은 배근막/흉요근막과 이어져 있어 움직임과 관련된 주요 감각기 및 타근육들을 자극함.
0. 따라서 올바른 척추+골반의 정렬을 가져오고, 체간을 중심으로 원위부의 효율적인 힘 전달과 올바른 사슬반응이 가능하게됨.
0. 그러나 체간 근육들이 안정화되지 못하면 효율적인 힘 전달이 불가능하여 체간 혹은 원위부에서 보상작용을 가져오게 되고
0. 그로 인해 근 불균형과 수축패턴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얀다형님은 요통환자의 복횡근 수축 지연을 처음으로 기록한 사람 중 한명이다. (우리 형님, 충성 충성 ^^7)
횡격막과 복횡근은 앉아있거나 서 있는 자세에서 팔을 움직일 때 함께 활성된다. 왜냐하면 횡격막은 호흡작용 뿐 아니라 자세 기능 또한 가지기 때문이다.
감각운동사슬은 고유감각수용기에 의존하고, 관절 기능이상은 감각운동 사슬의 동적 안정화를 약화시킨다.
ex1) 채찍질 손상(편타 손상) 환자의 목뼈 감각 운동 기능을 평가할 때, 상지 움직임 시 심부 목 굽힘근의 활동이 지연되었다. (Falla 2004, Falla, jull, and Hodges 2004)
ex2) 어깨 충돌 증후군을 가진 대상자들에게서 중/하부 승모근과 전거근의 활성이 지연되었다.
ex3) 발목의 기능적 불안정성ㅇㄹ 가진 환자들은 엉덩관절 전략으로 자세 안정성을 보상하지만 불안정성이 없는 환자는 발목전략을 사용한다.
3. 감각운동 적응 사슬(Sensorimotor Adaptation Chains)
얀다형님은 통증이나 병리로 인해 감각운동계의 변화가 생기면, 그에 따른 체계적 보상작용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0. 수평적 적응 : 척추에서 흔하게 관찰 가능, 요통은 목과 관련된 문제를 자주 야기한다. Horal(1969)형님은 요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50%가 요통이 처음 발생하고 나서 평균 6년 내에 목 증상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수평적 적응은 근위부>원위부 혹은 윈위부>근위부로 일어날 수 있는데, 발목의 경우가 특히 원위부>근위부로 일어난 수평적 적응의 대표 사례이다.
무릎 앞쪽의 통증이나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사람은 엉덩이 근육의 활성이 약회되거나 변화한다. 이는 손상 부위 이외의 근불균형 평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낸다.
0. 수직적 적응 :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사이에 발생한다. 말초>중추신경계로 변화하기도 하고 중추>말초신경계로 변화하기도 한다. 수직적 적응은 특히나 전반적인 움직임 패턴 또는 자세 조절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의 운동 프로그램에서 보상작용 변화 때문에 보행 시 변화된 운동형상학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끗~
https://open.kakao.com/me/stinvvv
![](https://ssl.pstatic.net/static/blank.gif)
'선조들의 지혜 > 얀다(Jan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전근 길이 검사 (Adductor Muscle Length Test) (0) | 2019.02.07 |
---|---|
변형된 토마스 테스트 Modified Thomas Test (고관절 굴극근 근길이 검사) (0) | 2019.01.04 |
유발점 vs 압통점 (Trigger Point versus Tendor Point) (0) | 2018.03.27 |
[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 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2/3 (0) | 2017.12.21 |
[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 얀다형님이 전하는 "사슬반응(Chain Reactions)" Part 1/3 (0) | 2017.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