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해부학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가쪽넓은근)에 대한 모든 것

by 「근육 연구소」 2021. 8. 9.
반응형

광근 시리즈의 마지막, 외측광근이다.

Vastus = 넓은

Lateralis = 바깥쪽

Vastus Lateralis Muscle = 바깥쪽 넓은 근육 = 외측광근(가쪽넓은근)

대퇴골 대전자에서부터 후면 조선을 쭉 따라서 근육이 시작된다. 뒤에서 앞으로 붙는 느낌. 슬개골 외측 상단 + 슬개인대를 통해 경골 조면에 부착된다.

외측광근은 마찬가지 단일관절로써 수축하면 무릎 관절을 신전시킨다. 내측광근과 함께 무릎 관절 안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외측광근은 대퇴사두근 그룹 중에서 가로 단면적이 가장 넓은, 힘이 가장 센 녀석이다. 그래서 무릎 관절이 신전될 때 힘이 센 외측 광근에 의해 슬개골이 약간 바깥쪽 + 위쪽으로 당겨진다.

전상장 골극과 슬개골, 경골 조면이 이루는 각도를 Q-angle이라고 한다. 정상 범주는 약 13-15˚ (±4.5˚) 이 각도가 커질수록 슬개골이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더 세지는 것을 의미한다. Q-angle이 커질수록 슬개골과 무릎 관절 안정화를 위해 내측광근/내전근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 강조된다.

외측광근은 무릎 관절이 완전히 락-아웃된 상태에서는 수축하지 않고 보행 중 뒤꿈치가 바닥에 닿을 때와 떨어질 때 활성화된다. (닿을 때 활성도가 가장 크고 떨어질 때는 활성도가 비교적 낮은 편)

 

외측광근이 단축되어 방사통을 일으키면 무릎과 허벅지 외측, 대퇴골의 대전자까지 영향을 미친다. 보통 IT band를 집중 공략하지만 현재 추세는 IT band는 신장성이 거의 없는, 강철(?)과 같은 조직이며 둔부와 햄스트링, 외측광근을 분리하는 기준점이 된다는 것이다.

IT band에 대한 폼롤링을 자제하고 근육을 손보라는 말.. 일리있는 말이다.

외측광근이 뻣뻣해지면 슬개골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무릎 관절에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다.


엄청 짧은데.. 이 글을 완성하는데에 약 2시간 정도 걸렸다.. 완성된 글을 보면 그저 짧은 '한 문장'이지만.. 그 '한 문장'의 진위여부 파악을 위해서는 확실한 근거 자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린다. (개망신 방지)

이제 드디어 대퇴사두근 그룹을 마무리했다. 다음 근육은 무엇!?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