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지식in

(질문) 늑간근은 코어근육에속하나요?

by 「근육 연구소」 2021. 5. 9.
반응형

 

늑간근은 코어근육에속하나요?

제목그대로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입니다.

-

 

 

 

늑간근은 갈비사이에 있는 근육들로써 횡격막과 함께 호흡근으로 분류됩니다.

"코어 근육"이라는 것이 지도자마다 지칭하는 바가 다르므로 "코어 근육"이라는 용어 그 자체보다는 그 사람이 무엇을 "코어 근육"이라고 지칭하며 왜 그러한지를 생각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몸통에서 복압을 만들어내는 4형제를 코어 근육이라고 지칭한다면

다열근/복횡근/골반기저근/횡격막이 코어 근육이 될 것입니다.

반대로 갈빗대와 골반을 잇는 근육들을 코어 근육이라고 지칭한다면

복직근/복사근/복횡근/척추주변근을 코어 근육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더 큰 의미로 트렁크와 골반 주변의 근육들을 코어 근육이라고 한다면

광배근/승모근/복직근/복횡근/둔근/장요근/요방형근 등등 몸통의 대다수의 근육들이 코어 근육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코어 근육"이라는 말 자체에 혼동되지 마시고 무엇을 코어 근육이라고 지칭할 것인지, 왜 그렇게 분류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0^

 

+

질문 작성자

그럼 속근육인가요 겉근육인가요

 

+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신체 표면 최전방에서 직접적으로 뼈대를 움직여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친구들, 이를테면 승모근, 광배근, 흉근, 대퇴사두/이두, 종아리 등등의 큰 근육들을 대근육=겉근육이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대근육들이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동안 관절이 제자리에서 잘 롤링+그라인딩 될 수 있도록 안정성 있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속근육입니다.

 

늑간근은 신체 깊숙한 내부에 있으니 속근육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결과적으로 호흡에 적극 참여하여 갈비뼈를 움직이기 때문에 겉근육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결국 해당 근육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르므로 겉근육/속근육과 같은 명칭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해당 근육이 어떻게 생겼고, 신체 내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집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0^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5089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장우현 근육학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