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슬와근(오금근, popliteus)
① 대퇴골 외측과에서 시작해서 경골 후면 근위부에 붙는다.
② 무릎을 구부리기 전 경골을 내회전시켜 무릎 관절을 굴곡시킨다.
③ 촉진하기
> 무릎 관절 굴곡시킨 뒤 경골조면을 찾는다.
> 경골 조면을 시작으로 경골 내측을 따라가면서 경골의 뒤쪽 표면을 만져보면 위쪽으로 비복근/가자미근이 출렁이는데
> 그곳 경골 후면 표면에서 슬와근을 찾을 수 있다.
④ 마사지하기(release)
> 테니스 공이나 야구공 등을 대퇴골과 정강이 사이에 두고 끌어안아 압박한 뒤
> 정강이(발)를 외회전/내회전 반복한다.
나는 후자가 더 좋은데,
> 경골 조면을 찾은다음 (대충 무릎뚜껑뼈 아래라고 생각하면된다.) 양 엄지손가락으로 경골 조면 뒤쪽을 움켜진다.
> 무릎을 펴고 정강이(발)의 내회전과 함께 무릎을 접으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슬와근을 압박한다.
> 매우 아프지만 효과가 좋다.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반응형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상근 파열(손상)이란? (1) | 2021.05.16 |
---|---|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 분석 ㄱㄱ (0) | 2021.03.21 |
견갑골의 거상 해부학 (Scapula Elevation Anatomy) (2) | 2020.02.13 |
견갑골의 외전(전인) 해부학 (Scapula Abduction Anatomy) (0) | 2020.02.04 |
요추의 정상적인 정렬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