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관절의 회전 움직임 해부학 (Neck Joint Rotation Anatomy)
흉쇄유돌근(SCM) / 사각근(Scalene) / 두판상근(Semispinalis capitis) / 다열근(Multifidus)
01. 흉쇄유돌근(SCM)
` 흉골병/쇄골내측에서 시작하여 유양돌기에 부착한다.
` 목 관절 굴곡, 목 관절 외측 굴곡, 목 관절 회전
` 흉골 상부 통증/마른 기침, 현기증/어지럼증과 관련
02. 사각근(Scalene)
` 경추2~7번 횡돌기에서 시작하여 1번/2번 늑골에 부착한다.
` 목 관절 굴곡 보조, 흡기시 1번/2번 늑골 거상, 목 관절 측방굴곡 보조
` 흉곽출구증후군(Thoraic outlet syndrome) : 상완신경총/쇄골하동맥 압박으로 인한 저림/통증/마비/약화
03. 두반극근(Semispinalis capitis)
` 외에도 경반극근/흉반극근이 있다.
` 3번, 7번 경추 횡돌기, 그리고 1~6번 혹은 7번까지의 흉추횡돌기에서 시작하여 후두골에 부착한다.
` 목관절 신전, 목 관절 회전 보조
` 머리의 모호한 통증을 유발한다.
04. 다열근(Multifidus)
` 천골, 후상장골극, 모든 척추의 횡돌기에서 시작하여 모든 척추의 가시돌기에 부착한다.
` 척추 신전, 척추 회전
` 후두하부위부터 견갑골 상연까지 목 후면 전체 통증과 관련이 깊다.
` 복횡근과 함께 신체중심안정화에 중요한 근육들 중 하나이다.
` 천골과 후상장골극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천장관절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장코치 다른 칼럼 둘러보기 : https://blog.naver.com/stinvvv
개인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me/stinvvv

'근육 연구소 > 근육 연구소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관절의 내회전 해부학 (Shoulder Internal Rotation Anatomy) (0) | 2019.01.17 |
---|---|
목 관절 굴곡 해부학 Neck Joint Flexion Anatomy (0) | 2019.01.10 |
고관절 내전근 해부학 (엉덩관절 모음근 해부학, Hip Joint Adductor Complex Anatomy) (0) | 2019.01.03 |
고관절 굴곡 해부학 (엉덩관절 굽힘 해부학) (0) | 2019.01.01 |
오훼완근과 극상근의 짝힘 (0) | 201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