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코치(장우현) 근육학 칼럼]
운동이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에 미치는 영향
많은 여성들이 월경과 관련된 기분 혹은 행동의 변화를 경험하며
`심리적 증상`으로는 불안, 우울, 불안정, 기분변화, 식욕변화, 집중력 저하, 수면 장애, 무기력, 긴장 등의 변화를,
`신체적 증상`으로는 부종, 체중변화, 상열감, 여드름, 비염, 두통, 변비, 복부팽만감, 요통, 유방통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박영주, 1999).
(그림 출처 : 위키백과)
월경전증후군은 월경 7~10일 전부터 월경이 시작되기까지 황체기에 나타나는 신체 및 정서적 증상들이 반복적,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특히 월경 중 통증은 프로스타글란딘의 과다 생성으로 인한 자궁 근육수축의 증가된다는 이론이 가장 유력하다.
(Coco, 1999; Deligeoroglou, 2000).
프로스타글란딘이 증가하면 자궁수축과 자궁내압이 증가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방광 위쪽 부위를 중심으로 날카롭고 간헐적인 통증을 겪게 되고 통
증은 다리 뒤쪽이나 요추 하부위로 방사될 수 있다
(Coco, 1999; Jialin 등, 2009).
또한 월경이 시작되기 7~10일 전에 분비되는 Relaxin은 임신기와 유사하게 인대의 탄력성을 증가시켜 유연하게 만들고, 월경 시 개폐 운동과 함께 관절의 움직임이 많아져 골반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Richard L, 1985).
20대 여성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전반적으로 월경증상 호소가 많고 정도도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특히 월경 시작 첫날에 요통을 가장 많이 경험한다고 하였다.
여성들이 월경기간 동안 일상생활에 지장을 겪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의료기관 이용률이 저조한 편임) (Deuster 등,1999)
월경 증상의 완화를 위해 진통제와 같은 약물의존도가 높다는 보고가 있는데 (박혜은 등, 2005 한선희와 허명행, 1999) 진통제 복용은 소화불량, 오심, 구토, 설사, 두통, 어지러움, 시각 혹은 청각 장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약물 과다 복용이나 약물 오용에 놓여질 수 있다.
우선적으로 월경전증후군의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자기관리/균형 잡힌 식사 등이 도움이 되며 환자 스스로의 교육과 가까운 가족, 친구 등의 사회적 지지를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전반적인 이완이 필요하다.
때문에 장코치는 운동이 월경전증후군, 그리고 월경기간 중 발생하는 생리적,정신적, 신체적 불편함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 자료를 살펴보았다.
-
1. H대학 22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주 5회, 15-20분의 유산소/20-25분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HRmax60-70%, 10-12RM 3세트 Leg Crul/Leg Press/Full down, Curl up, sit up)
12주간 유산소/웨이트 훈련이 생리주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음. 그리고 12주간의 훈련은 안정시 성장호르몬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훈련으로 인한 단백질 합성능력과 골격근의 유사분열 촉진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임.
결론적으로 운동을 통해 체중과 체지방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생리주기의 변화는 없었다. 난소호르몬 또한 훈련에 따른 변화는 없었고 성장호르몬은 훈련 후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코티졸(스트레스호르몬)의 경우 월경기에 비해 분비기에 감소하였으나 정확한 기전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2. 부산 C대학에 재학 중인 `월경전증후군`과 `월경 중 중강도 이상의 통증을 경험`하는 여대생 3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나와있는 “요골반부 안정화 운동프로그램(김선엽 1998, kisner colby,2002 등)”을 월경전증후군이 나타난다고 알려져있는 월경시작 일주일전부터 월경이 끝나는 마지막 날 까지 1일 1회, 각각의 동작을 5회씩 총 2세트 실시하였다.
Dead bug 운동과 단계적인 Bird dog 운동을 실시하였음.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MDQ(Menstrul Distress Questionnaire)(Moos, 1968)를 통해 점수비교를 해보았더니 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에서는 실험 전 117점±30점에서 실험 후 72.93±18.26점으로 월경전증후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운동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129.33±24.11점에서 126.6±21.97점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는 천골과 자궁이 역학적으로 인대를 통해 지지되며 자궁기능과 철골신경총이 신경학적으로 연결되어있다(Denise 등 2008)고 밝힌바, 요부안정화 운동들이 비정상적인 관절의 운동을 바로잡아 자궁 수축과 골반 내 혈류 증가를 정상화하여 월경통증을 감소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한동길(2009)은 4주간의 운동치료가 월경통으로 인한 허리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강현정(2008)은 골반 및 복부근육의 근력과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가 프로그램을 여대생에게 적용하여 마찬가지 월경전증후군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Maxwell(1999)의 선행연구에서도 월경전증후군을 겪고 있는 여성들에게 카이로프락틱 치료를 시행한 결과 증상이 유의하게 완화되었는데, Stuge 등(2004)은 일반 물리치료만 적용하였을 때보다 운동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했을 때에 통증이 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
마지막으로 위 논문들에서는 이러한 운동프로그램들이 절차가 간단하고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점, 여성 스스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점들을 들어, 월경전/후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여성들에게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끗!
* 참고문헌
1. 대한물리의학회지 7권 (2012년 2월) : 요골반부 안정화 운동이 여대생의 월경통증 및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김진희, 김난수)
2. 월경전증후군 :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임상적 접근 (정경아)
3. 체육과학연구 : 2004, 제 15권, 제 4호 : 12주간의 훈련프로그램이 생리주기에 따른 난소 및 성장 관련 호르몬, Cortisol에 미치는 영향(권영우, 김진해, 김진형, 권상선, 김한철)
4. 운동과학 제 17권 제 1호 : 월경주기에 따른 유산소운동 수행시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변화(남상남, 김종혁, 임희진)
https://open.kakao.com/me/stinvvv
![](http://static.naver.net/blank.gif)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버튼 꾸욱! 부탁드립니다! :)